전체
-
1
시문류-기타 | 戊辰 | 1028 | 19 × 22
1928년 의관공의 장지와 관련해서 기록한 안위문으로 내용이 D009_01_D00014_001와 대동소이하다.
-
2
전등신화구해 권지상(剪燈新話句解 卷之上) | 안동권씨 복야공파 텍 이
구우(瞿佑, 1341~1427, 명, 저자) | 집부-소설류(小說類) | 목판본 | 1378 | 27.8 × 19.8
명나라 초기 문인 구우(瞿佑, 1341–1427)가 1378년에 저술한 문언체 단편 소설집
-
3
전등신화구해 권지하(剪燈新話句解 卷之下) | 안동권씨 복야공파 텍 이
구우(瞿佑, 1341~1427, 명, 저자) | 집부-소설류(小說類) | 목판본 | 1378 | 26.3 × 18.4
명나라 초기 문인 구우(瞿佑, 1341–1427)가 1378년에 저술한 문언체 단편 소설집
-
4
집부-총집류(總集類) | 목판본 | 甲戌年(1454년) | 류인초(劉仁初) | 1454 | 25.8 × 17.8
원 제목은 <新刊類編歷擧三場文選古賦>로 원나라에서 시행한 鄕試와 會試, 그리고 殿試의 三場에서 합격한 답안들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편집한 책.
-
5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권제일(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卷第一) | 태광사 텍 이
자부-석가류(釋家類) | 목판본 | 成化六年 | 1470 | 39 × 26
-
6
집부-총집류(總集類) | 목판본 | 1476년 | 서거정(徐居正) | 1476 | 34.7 × 24
명나라 사신과 원접사인 서거정이 주고 받은 시를 편집하여 간행한 시집.
-
7
신용개(申用漑, 편저자) | 집부-총집류(總集類) | 목판본 | 중종 13년(1518) | 1518 | 32.7 × 21.7
成宗代 이후의 詩文을 모아 신용개 등이 편찬한 시문집 표제는 東文選
-
8
신용개(申用漑, 편저자) | 집부-총집류(總集類) | 목판본 | 중종 13년(1518) | 1518 | 32.7 × 21.7
成宗代 이후의 詩文을 모아 신용개 등이 편찬한 시문집 표제는 東文選
-
9
신증동국여지승람 51(新增東國輿地勝覽 51) | 김윤태 텍 이
이행, 윤은보 등(李荇, 尹殷輔 등, 편저자) | 목활자본 | 嘉靖 9년 | 1530 | 35.7 × 22
조선전기 문신 이행, 윤은보 등이 <동국여지승람>을 증수하여 편찬한 지리서. 표지 낙장
-
10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일권(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一卷) | 태광사 텍 이
자부-석가류(釋家類) | 목판본 | 嘉靖十七年 | 안동 | 廣興社 | 1538 | 38 × 25
-
11
이이(李珥, 1536~1584, 조선, 저자) | 자부-유가류(儒家類) | 필사본 | 1558 | 30.5 × 19.8
조선 명종 13년(1558)에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지은 책문
-
12
-
13
사부-전기류(傳記類) | 활자본 | 1581 | 1581 | 29.7 × 20.7
조선시대 문신 윤두수가 송나라의 충신 문천상과 고려의 충신 정몽주의 순국사적을 편찬한 사적기
-
14
경부-사서류(四書類) | 목판본 | 선조 21(1588) | 선조(宣祖) | 1588 | 32.7 × 21
宣祖의 명에 의해 <論語>의 원문에 토를 달고 언해한 책 표제는 論解
-
15
경부-사서류(四書類) | 목판본 | 선조 21(1588) | 선조(宣祖) | 1588 | 32.7 × 21
宣祖의 명에 의해 <論語>의 원문에 토를 달고 언해한 책 표제는 論解
-
16
경부-사서류(四書類) | 목판본 | 선조 21(1588) | 선조(宣祖) | 1588 | 32.7 × 21
宣祖의 명에 의해 <論語>의 원문에 토를 달고 언해한 책 표제는 論解
-
17
1589년 이안성 교첩(1589年 李安性 敎牒) | 양평 덕수이씨 문정공파 해 텍 이
이조(吏曹, 발급), 이안성(李安性, 1554~1613, 수취) | 교령류-교첩(敎牒) | 萬曆十七年三月 | 1589 | 45.3 × 68.6
1589년(선조 22) 3월 이조(吏曹)에서 무공랑(務功郎) 이안성(李安性)에게 선무랑(宣務郎)을 주기 위해 발급한 교첩(敎牒).
-
18
1589년 이안성 교첩(1589年 李安性 敎牒) | 양평 덕수이씨 문정공파 해 텍 이
이조(吏曹, 발급), 이안성(李安性, 1554~1613, 수취) | 교령류-교첩(敎牒) | 萬曆十七年三月 | 1589 | 45 × 73.2
1589년(선조 22) 이조(吏曹)에서 통사랑(通仕郎) 이안성(李安性)에게 무공랑(務功郎)을 주기 위해 발급한 교첩(敎牒).
-
19
1589년 이안성 교첩(1589年 李安性 敎牒) | 양평 덕수이씨 문정공파 해 텍 이
이조(吏曹, 발급), 이안성(李安性, 1554~1613, 수취) | 교령류-교첩(敎牒) | 萬曆十七年三月 | 1589 | 46.1 × 72
1589년(선조 22) 3월 이조(吏曹)에서 종사랑(從仕郎) 이안성(李安性)에게 통사랑(通仕郎)을 주기 위해 발급한 교첩(敎牒).
-
20
1589년 이안성 교첩(1589年 李安性 敎牒) | 양평 덕수이씨 문정공파 해 텍 이
이조(吏曹, 발급), 이안성(李安性, 1554~1613, 수취) | 교령류-교첩(敎牒) | 萬曆十七年二月 | 1589 | 45.5 × 77.5
1589년(선조 22) 2월 이조(吏曹)에서 학생(學生) 이안성(李安性)에게 종사랑(從仕郎)을 주기 위해 발급한 교첩(敎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