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181
1733년 장윤조 논 매매 문기(張胤祚 畓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장윤조(張胤祚, 발급), 강성제(姜聖齊,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雍正十一年癸丑十一月十一日 | 1733 | 52.7 × 30.5
1733년(영조 9) 11월 11일에 논주인인 유학 장윤조(張胤祚)가 자신의 이성(異姓) 6촌인 유학 강성제(姜聖齊)에게 30냥을 받고 논을 매도하면서 발급해 준 토지매매문기
-
182
1733년 권강 간찰(權絳 簡札) | 안동권씨 청풍당 텍 이
권강(權絳, 1707, 발급), 권교홍(權敎弘, 수취)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癸丑 陽 望 | 1733 | 32.5 × 49
계축년(1733) 10월 15일에 종하(宗下) 권강(權絳, 1707~?)이 안부를 주고받고 근황 등을 알리고자 발급한 간찰
-
183
1733년 신야 관교(申埜 官敎) | 평산신씨 대종중 텍 이
영조(英祖, 발급), 신야(申埜, 1697~1759, 수취) | 교령류-관교(官敎) | 雍正十一年七月十八日 | 1733 | 55 × 77
영조(英祖) 9년(1733)에 신야(申埜)를 봉렬대부 행 전생서 봉사(奉列大夫 行 典牲署 奉事)로 임명한 관교(官敎)
-
184
1735년 대도호부사 준호구(대도호부사 準戶口)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대도호부사(대도호부사, 발급), 이내번(李乃蕃, 수취) | 증빙류-준호구(準戶口) | 雍正13(1735) | 1735 | 69.2 × 54.8
강릉부 북면 嘉南 鏡湖里 거주하는 李乃蕃에게 발급한 문서
-
185
1735년 신필동 논 상환 문기(辛弼東 畓相換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신필동(辛弼東, 발급), 김중권(金重權,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雍正十三年乙卯五月二十日 | 1735 | 62.2 × 24.7
1735년(영조 11) 5월 20일에 유학 신필동이 유학 김중권과 논을 서로 교환하면서 발급해 준 토지상환문기(土地相換文記)
-
186
1735년 신야 관교(申埜 官敎) | 평산신씨 대종중 텍 이
영조(英祖, 발급), 신야(申埜, 1697~1759, 수취) | 교령류-관교(官敎) | 雍正十三年四月十八日 | 1735 | 54.5 × 80
영조(英祖) 11년(1735)에 신야(申埜)를 중훈대부 행 장흥고 직장(中訓大夫 行 長興庫 直長)으로 임명한 관교(官敎)
-
187
1735년 신야 관교(申埜 官敎) | 평산신씨 대종중 텍 이
영조(英祖, 발급), 신야(申埜, 1697~1759, 수취) | 교령류-관교(官敎) | 雍正十三年正月二十五日 | 1735 | 54.8 × 77.8
영조(英祖) 11년(1735)에 신야(申埜)를 봉정대부 행 장흥고 직장(奉正大夫 行 長興庫 直長)으로 임명한 관교(官敎)
-
188
1735년 신야 관교(申埜 官敎) | 평산신씨 대종중 텍 이
영조(英祖, 발급), 신야(申埜, 1697~1759, 수취) | 교령류-관교(官敎) | 雍正十三年十一月十三日 | 1735 | 55 × 79.5
영조(英祖) 11년(1735)에 신야(申埜)를 중직대부 행 장흥고 직장(中直大夫 行 長興庫 直長)으로 임명한 관교(官敎)
-
189
강릉대도호부사(江陵大都護府使, 발급) | 증빙류-호구단자(戶口單子) | 雍正13(1735) | 1735 | 50 × 58
강릉부 北二里 山皇里 第3統 에 거주하는 나이 69세의 金泰柱가의 준호구이다.
-
190
1736년 최인길 논 매매 문기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최인길(崔仁吉, 발급), 최태동(崔泰東,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元年丙辰五月十六日 | 1736 | 52.1 × 34.2
-
191
1736년 신야 관교(申埜 官敎) | 평산신씨 대종중 텍 이
영조(英祖, 발급), 신야(申埜, 1697~1759, 수취) | 교령류-관교(官敎) | 乾隆元年七月初二日 | 1736 | 55.5 × 79
영조(英祖) 12년(1736)에 신야(申埜)를 통훈대부 행 호조 좌랑(通訓大夫 行 戶曹佐郎)으로 임명한 관교(官敎)
-
192
1736년 신야 관교(申埜 官敎) | 평산신씨 대종중 텍 이
영조(英祖, 발급), 신야(申埜, 1697~1759, 수취) | 교령류-관교(官敎) | 乾隆元年六月初二日 | 1736 | 57 × 78
영조(英祖) 12년(1736)에 신야(申埜)를 통훈대부 행 장흥고 주부(通訓大夫 行 長興庫 主簿)로 임명한 관교(官敎)
-
193
1736년 신야 관교(申埜 官敎) | 평산신씨 대종중 텍 이
영조(英祖, 발급), 신야(申埜, 1697~1759, 수취) | 교령류-관교(官敎) | 乾隆元年三月十六日 | 1736 | 54.3 × 71.3
영조(英祖) 12년(1736)에 신야(申埜)를 통훈대부 행 장흥고 직장(通訓大夫 行 長興庫 直長)으로 임명한 관교(官敎)
-
194
1736년 신야 관교(申埜 官敎) | 평산신씨 대종중 텍 이
영조(英祖, 발급), 신야(申埜, 1697~1759, 수취) | 교령류-관교(官敎) | 乾隆元年六月初二日 | 1736 | 57 × 79.8
영조(英祖) 12년(1736)에 신야(申埜)를 통훈대부 행 종부시 주부(通訓大夫 行 宗簿寺 主簿)로 임명한 관교(官敎)
-
195
1737년 박창욱 논 매매 문기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박창욱(朴昌煜, 개인, 발급), 김중권(金重權, 개인,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二年丁巳正月三十日 | 1737 | 51.5 × 33
-
196
증보참찬비전천기대요 상(增補參贊祕傳天機大要 上) | 창녕조씨 종회 텍 이
지백원(池百源, 편저자) | 자부-술수류(術數類) | 활자본 | 영조 13(1737) | 관상감(관상감) | 1737 | 27.3 × 18.8
음양오행설에 의거하여 관혼상제를 비롯 일상생활에서의 길흉을 가리는 방법을 기술한 책 표제는 天機大要
-
197
증보참찬비전천기대요 하(增補參贊祕傳天機大要 下) | 창녕조씨 종회 텍 이
지백원(池百源, 편저자) | 자부-술수류(術數類) | 활자본 | 영조 13(1737) | 관상감(관상감) | 1737 | 27.3 × 18.8
음양오행설에 의거하여 관혼상제를 비롯 일상생활에서의 길흉을 가리는 방법을 기술한 책 표제는 天機大要
-
198
1737년 신야 관교(申埜 官敎) | 평산신씨 대종중 텍 이
영조(英祖, 발급), 신야(申埜, 1697~1759, 수취) | 교령류-관교(官敎) | 乾隆二年七月十二日 | 1737 | 56.5 × 80.5
영조(英祖) 13년(1737)에 신야(申埜)를 통훈대부 행 호조 정랑(通訓大夫 行 戶曹正郎)으로 임명한 관교(官敎)
-
199
1740년 김중권 논 매매 문기(金重權 畓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김중권(金重權, 발급), 심귀무(沈貴武,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五年庚申十二月二十七日 | 1740 | 45.6 × 46.1
1740년(영조16) 12월 27일에 유학(幼學) 김중권(金重權)이 유학 심찬무(沈贊武)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문기
-
200
1740년 홍국천 논 매매 문기(洪㕵天 畓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홍국천(洪㕵天, 개인, 발급), 김상백(金尙白, 개인,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洪㕵天 | 1740 | 52.7 × 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