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41
-
42
-
43
류원총보 9(類苑叢寶 9)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텍 이
김육(金堉, 편저자) | 자부-유서류(類書類) | 목판본 | 1646년 | 1646 | 25.5 × 18.3
조선시대 학자 김육이 <사문유취>를 기본으로 역대 고금의 서적을 참고하고 증감하여 편찬한 類書.
-
44
조호익(曺好益, 편저자) | 경부-예류(禮類) | 목판본 | 1646년 | 1646 | 29 × 18.8
조선 중기의 학자 曺好益이 <家禮>에 관해 어려운 부분을 고증하여 알기쉽게 풀이한 책
-
45
-
46
김영기(金永基, 편저자) | 활자본 | 1946년 | 창원사(創元社) | 1646 | 18.3 × 13.2
조선의 농업 현황과 농촌문제 등을 다룬 책
-
47
신의경(申義慶, 편저자) | 경부-예류(禮類) | 활자본 | 1648년 | 1648 | 37.6 × 21
조선시대 학자 신의경이 <家禮>를 중심으로 학자들의 예설을 참고하여 상례의식을 알기 쉽게 기술한 禮書. 發文 申欽, 天啓 元年
-
48
신의경(申義慶, 편저자) | 경부-예류(禮類) | 목판본/필사본 | 1648년 | 1648 | 24.6 × 16.8
조선 중기의 학자 申義慶이 찬술한 喪禮 관계의 초보적인 지침서
-
49
자부-예술류(藝術類) | 탁본 | 崇禎紀元後 甲午(1654) | 1654 | 28.9 × 21.1
高麗'山積石寺 비문의 탁본첩 李中謙이 짓고 尹淳이 글씨를 씀
-
50
신익성(申翊聖,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활자본/복사본 | 1654년 | 이민구(李敏求) | 1654 | 24.6 × 16.5
조선 선조의 부마이며 문신 학자인 신익성의 시문집
-
51
신익성(申翊聖,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활자본/복사본 | 1654년 | 이민구(李敏求) | 1654 | 24.6 × 16.5
조선 선조의 부마이며 문신 학자인 신익성의 시문집
-
52
신익성(申翊聖,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활자본/복사본 | 1654년 | 이민구(李敏求) | 1654 | 24.6 × 16.5
조선 선조의 부마이며 문신 학자인 신익성의 시문집
-
53
신익성(申翊聖,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활자본/복사본 | 1654년 | 이민구(李敏求) | 1654 | 24.6 × 16.5
조선 선조의 부마이며 문신 학자인 신익성의 시문집
-
54
신익성(申翊聖,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활자본/복사본 | 1654년 | 이민구(李敏求) | 1654 | 24.6 × 16.5
조선 선조의 부마이며 문신 학자인 신익성의 시문집
-
55
신익성(申翊聖,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활자본/복사본 | 1654년 | 이민구(李敏求) | 1654 | 24.6 × 16.5
조선 선조의 부마이며 문신 학자인 신익성의 시문집
-
56
신익성(申翊聖,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활자본/복사본 | 1654년 | 이민구(李敏求) | 1654 | 24.6 × 16.5
조선 선조의 부마이며 문신 학자인 신익성의 시문집
-
57
정홍명(鄭弘溟,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목판본 | 1655년 | 정이(鄭涖) | 1655 | 30.2 × 19.8
조선 인조 때 鄭弘溟의 시문집
-
58
정홍명(鄭弘溟,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목판본 | 1655년 | 정이(鄭涖) | 1655 | 30.2 × 19.8
조선 인조 때 鄭弘溟의 시문집
-
59
정홍명(鄭弘溟,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목판본 | 1655년 | 정이(鄭涖) | 1655 | 30.2 × 19.8
조선 인조 때 鄭弘溟의 시문집
-
60
정경세(鄭經世, 1563~1633, 조선, 저자) | 집부-시문평류(詩文評類) | 금속활자본 | 1657 | 31.4 × 21.4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정경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57년에 간행한 시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