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41
신의경(申義慶, 편저자) | 경부-예류(禮類) | 활자본 | 1648년 | 1648 | 37.6 × 21
조선시대 학자 신의경이 <家禮>를 중심으로 학자들의 예설을 참고하여 상례의식을 알기 쉽게 기술한 禮書. 發文 申欽, 天啓 元年
-
42
신의경(申義慶, 편저자) | 경부-예류(禮類) | 목판본/필사본 | 1648년 | 1648 | 24.6 × 16.8
조선 중기의 학자 申義慶이 찬술한 喪禮 관계의 초보적인 지침서
-
43
자부-예술류(藝術類) | 탁본 | 崇禎紀元後 甲午(1654) | 1654 | 28.9 × 21.1
高麗'山積石寺 비문의 탁본첩 李中謙이 짓고 尹淳이 글씨를 씀
-
44
신익성(申翊聖,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활자본/복사본 | 1654년 | 이민구(李敏求) | 1654 | 24.6 × 16.5
조선 선조의 부마이며 문신 학자인 신익성의 시문집
-
45
신익성(申翊聖,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활자본/복사본 | 1654년 | 이민구(李敏求) | 1654 | 24.6 × 16.5
조선 선조의 부마이며 문신 학자인 신익성의 시문집
-
46
신익성(申翊聖,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활자본/복사본 | 1654년 | 이민구(李敏求) | 1654 | 24.6 × 16.5
조선 선조의 부마이며 문신 학자인 신익성의 시문집
-
47
신익성(申翊聖,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활자본/복사본 | 1654년 | 이민구(李敏求) | 1654 | 24.6 × 16.5
조선 선조의 부마이며 문신 학자인 신익성의 시문집
-
48
신익성(申翊聖,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활자본/복사본 | 1654년 | 이민구(李敏求) | 1654 | 24.6 × 16.5
조선 선조의 부마이며 문신 학자인 신익성의 시문집
-
49
신익성(申翊聖,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활자본/복사본 | 1654년 | 이민구(李敏求) | 1654 | 24.6 × 16.5
조선 선조의 부마이며 문신 학자인 신익성의 시문집
-
50
신익성(申翊聖,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활자본/복사본 | 1654년 | 이민구(李敏求) | 1654 | 24.6 × 16.5
조선 선조의 부마이며 문신 학자인 신익성의 시문집
-
51
정홍명(鄭弘溟,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목판본 | 1655년 | 정이(鄭涖) | 1655 | 30.2 × 19.8
조선 인조 때 鄭弘溟의 시문집
-
52
정홍명(鄭弘溟,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목판본 | 1655년 | 정이(鄭涖) | 1655 | 30.2 × 19.8
조선 인조 때 鄭弘溟의 시문집
-
53
정홍명(鄭弘溟,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목판본 | 1655년 | 정이(鄭涖) | 1655 | 30.2 × 19.8
조선 인조 때 鄭弘溟의 시문집
-
54
정양(鄭瀁, 편저자) | 자부-역학류(譯學類) | 활자본 | 1657 | 1657 | 27.5 × 20
조선 후기의 문인 鄭瀁이 기존의 어록 해석을 종합하여 편집해 한글과 한자로 주해한 책 1908(隆熙 2)년 중수
-
55
-
56
1663/1673/1683년 김수항 간찰(金壽恒 簡札) | 이정동 텍 이
김수항(金壽恒, 1629~1689, 발급)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癸七月十二 | 1663/1673/1683 | 16.2 × 24.5
1663/1673/1683년에 김수항이 선물에 대한 감사와 안부를 묻는 간찰
-
57
-
58
홍가신(洪可臣,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목판본 | 今上 7年(1666년) | 1666 | 30 × 18.6
조선 중기의 문신 洪可臣의 시문집 許穆 序文
-
59
1667년 송준길 간찰(宋浚吉 簡札) | 이정동 텍 이
송준길(宋浚吉, 1606~1672, 발급)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丁未臘月二十三 | 1667 | 26.8 × 42.4
1667년 12월 23일에 송준길宋浚吉(1606~1672)이 작성한 간찰
-
60
사부-전기류(傳記類) | 활자본 | 1669 | 1669 | 34.2 × 22.2
진주강씨 문중 인물의 行狀과 墓碣 내용을 정리한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