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81
신익성(申翊聖,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활자본/복사본 | 1684년 | 김석주(金錫冑) | 1684 | 25.6 × 17.9
조선 선조 때 문신 신익성이 귀향한 뒤에 지은 시를 모아 엮은 책
-
82
1691년 김춘택 간찰(金春澤 簡札) | 이정동 텍 이
김춘택(金春澤, 발급)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辛未正月五日 | 1691 | 29 × 32.4
1691년(숙종 17) 정월 5일 김춘택이 서하록과 계사기문의 내용 평에 대해 답한 간찰
-
83
1697년 어세탁 논 매매 문기(於世擢 畓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어세탁(於世擢, 발급), 함순창(咸舜昌,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康熙三十六年丁丑二月二十九日 | 1697 | 55.1 × 35.1
1697년(숙종23) 2월 29일에 유학(幼學) 어세탁(於世擢)이 처조카인 유학(幼學) 함순창(咸舜昌)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매매문기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홍만종(홍만종, 편저자) | 사부-별사류(別史類) | 필사본 | 1705년 | 1705 | 31 × 20.3
조선후기 문신 학자 홍만종이 단군조선에서부터 조선까지를 기록한 역사서. 속표지에는 <동국역대총목>으로 되어있음
-
93
최일형(崔一衡, 발급) | 康熙44年 乙酉11月(1705년) | 1705 | 26 × 171.5
娣 監役 李顧, 娚 幼學 申洸一 등에 의한 화회문기
-
94
1708년 신석화 관교(申錫華 官敎) | 평산신씨 대종중 텍 이
숙종(肅宗, 발급), 신석화(申錫華, 1672~1714, 수취) | 교령류-관교(官敎) | 康熙四十七年 | 1708 | 52.5 × 75
1708년(康熙47년) 3월 22일에 숙종(肅宗)이 신석화(申錫華)를 조산대부 행 호조좌랑(朝散大夫 行 戶曹佐郎)으로 임명한 관교(官敎)
-
95
-
96
1709년 신석화 관교(申錫華 官敎) | 평산신씨 대종중 텍 이
숙종(肅宗, 발급), 신석화(申錫華, 1672~1714, 수취) | 교령류-관교(官敎) | 康熙四十八年 | 1709 | 53.8 × 78
1709년(康熙48년) 5월 12일에 숙종(肅宗)이 신석화(申錫華)를 봉렬대부 행 순안현령(奉列大夫 行 順安縣令)으로 임명한 관교(官敎)
-
97
1710년 신석화 관교(申錫華 官敎) | 평산신씨 대종중 텍 이
숙종(肅宗, 발급), 신석화(申錫華, 1672~1714, 수취) | 교령류-관교(官敎) | 康熙四十九年 | 1710 | 54 × 75.5
1710년(康熙49년) 2월 15일에 숙종(肅宗)이 신석화(申錫華)를 봉정대부 행 순안현령(奉正大夫 行 順安縣令)으로 임명한 관교(官敎)
-
98
1714년 김생원댁 노 장립 논 매매 문기(金生員宅奴長立 畓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김생원댁 노 장립(金生員宅 奴 長立, 발급), 전험동(全驗同,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康熙五十三年甲午十二月二十日 | 1714
1714년(숙종 40) 12월 20일에 논주인인 김 생원댁의 종 장립(長立)이 전험동(全驗同)에게 60냥을 받고 세 곳의 논을 매도하면서 발급해 준 토지매매문기
-
99
어찬주자전서 1(御纂朱子全書 1) | 남양홍씨(홍순성) 텍 이
주희(朱熹, 편저자) | 자부-유가류(儒家類) | 목판본 | 康熙53년(1714)序 | 이광지 등(李光地 등) | 1714 | 23.5 × 15.3
淸 聖祖의 명을 받아 이부상서 李光地 등이 편찬한 주자전서. 유학서. 표제는 朱子全書
-
100
어찬주자전서 2(御纂朱子全書 2) | 남양홍씨(홍순성) 텍 이
주희(朱熹, 편저자) | 자부-유가류(儒家類) | 목판본 | 康熙53년(1714)序 | 이광지 등(李光地 등) | 1714 | 23.5 × 15.3
淸 聖祖의 명을 받아 이부상서 李光地 등이 편찬한 주자전서. 유학서. 표제는 朱子全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