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18141
-
18142
-
18143
-
18144
류공권(柳公權, 편저자) | 자부-예술류(藝術類) | 탁본/첩본 | 상해 구석재출판(上海 求石齋出版) | 26 × 14.9
유공권이 쓴 玄秘塔 碑文의 탁본첩
-
18145
-
18146
비지구해 원본시전 상(備旨具解 原本詩傳 上) | 천보당 텍 이
경부-시류(詩類) | 활자본 | 조선도서주식회사(朝鮮圖書株式會社) | 22.4 × 15
<詩傳>에 대한 주해본 표제는 詩傳 乾
-
18147
황제내경소문합찬 권1(黃帝內經素問合纂 卷1) | 천보당 텍 이
자부-의가류(醫家類) | 석인본 | 20.4 × 13.6
黃帝와 名醫의 문답형식으로 중국의 의술과 신체관을 기술한 醫書 표제는 馬元臺張隱庵合註素問靈樞
-
18148
황제내경소문합찬 권2(黃帝內經素問合纂 卷2) | 천보당 텍 이
자부-의가류(醫家類) | 석인본 | 20.4 × 13.6
黃帝와 名醫의 문답형식으로 중국의 의술과 신체관을 기술한 醫書 표제는 馬元臺張隱庵合註素問靈樞
-
18149
황제내경소문합찬 권3(黃帝內經素問合纂 卷3) | 천보당 텍 이
자부-의가류(醫家類) | 석인본 | 20.4 × 13.6
黃帝와 名醫의 문답형식으로 중국의 의술과 신체관을 기술한 醫書 표제는 馬元臺張隱庵合註素問靈樞
-
18150
황제내경소문합찬 권5(黃帝內經素問合纂 卷5) | 천보당 텍 이
자부-의가류(醫家類) | 석인본 | 20.4 × 13.6
黃帝와 名醫의 문답형식으로 중국의 의술과 신체관을 기술한 醫書 표제는 馬元臺張隱庵合註素問靈樞
-
18151
황제내경소문합찬 권6(黃帝內經素問合纂 卷6) | 천보당 텍 이
자부-의가류(醫家類) | 석인본 | 20.4 × 13.6
黃帝와 名醫의 문답형식으로 중국의 의술과 신체관을 기술한 醫書 표제는 馬元臺張隱庵合註素問靈樞
-
18152
황제내경소문합찬 권7(黃帝內經素問合纂 卷7) | 천보당 텍 이
자부-의가류(醫家類) | 석인본 | 20.4 × 13.6
黃帝와 名醫의 문답형식으로 중국의 의술과 신체관을 기술한 醫書 표제는 馬元臺張隱庵合註素問靈樞
-
18153
황제내경소문합찬 권8(黃帝內經素問合纂 卷8) | 천보당 텍 이
자부-의가류(醫家類) | 석인본 | 20.4 × 13.6
黃帝와 名醫의 문답형식으로 중국의 의술과 신체관을 기술한 醫書 표제는 馬元臺張隱庵合註素問靈樞
-
18154
자부-의가류(醫家類) | 석인본 | 20.4 × 13.6
黃帝와 名醫의 문답형식으로 중국의 의술과 신체관을 기술한 醫書 표제는 靈樞
-
18155
어찬의종김감 권2~5(御纂醫宗金鑑 卷2~5) | 천보당 텍 이
오겸(吳謙, 편저자) | 자부-의가류(醫家類) | 활자본 | 의학촬요(醫學撮要) | 19.9 × 12.8
吳謙이 乾隆帝의 명을 받아 편찬한 종합의서로 전문적인 치료기법을 담고 있다 표제는 醫宗金鑑
-
18156
어찬의종김감 권6~14(御纂醫宗金鑑 卷6~14) | 천보당 텍 이
오겸(吳謙, 편저자) | 자부-의가류(醫家類) | 활자본 | 의학촬요(醫學撮要) | 19.9 × 12.8
吳謙이 乾隆帝의 명을 받아 편찬한 종합의서로 전문적인 치료기법을 담고 있다 표제는 醫宗金鑑
-
18157
어찬의종김감 권15~18(御纂醫宗金鑑 卷15~18) | 천보당 텍 이
오겸(吳謙, 편저자) | 자부-의가류(醫家類) | 활자본 | 의학촬요(醫學撮要) | 19.9 × 12.8
吳謙이 乾隆帝의 명을 받아 편찬한 종합의서로 전문적인 치료기법을 담고 있다 표제는 醫宗金鑑
-
18158
어찬의종김감 권19~22(御纂醫宗金鑑 卷19~22) | 천보당 텍 이
오겸(吳謙, 편저자) | 자부-의가류(醫家類) | 활자본 | 의학촬요(醫學撮要) | 19.9 × 12.8
吳謙이 乾隆帝의 명을 받아 편찬한 종합의서로 전문적인 치료기법을 담고 있다 표제는 醫宗金鑑
-
18159
어찬의종김감 권70~74(御纂醫宗金鑑 卷70~74) | 천보당 텍 이
오겸(吳謙, 편저자) | 자부-의가류(醫家類) | 활자본 | 의학촬요(醫學撮要) | 19.9 × 12.8
吳謙이 乾隆帝의 명을 받아 편찬한 종합의서로 전문적인 치료기법을 담고 있다 표제는 醫宗金鑑
-
18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