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18001
춘추좌전 권18~21(春秋左傳 卷18~21) | 천보당 텍 이
경부-춘추류(春秋類) | 석인본 | 상해 금장도서국(上海 錦章圖書局) | 20.3 × 13.3
孫鑛 韓范이 春秋左傳에 評點을 한 주석서 표제는 精校左傳杜林合註
-
18002
춘추좌전 권22~25(春秋左傳 卷22~25) | 천보당 텍 이
경부-춘추류(春秋類) | 석인본 | 상해 금장도서국(上海 錦章圖書局) | 20.3 × 13.3
孫鑛 韓范이 春秋左傳에 評點을 한 주석서 표제는 精校左傳杜林合註
-
18003
춘추좌전 권26~29(春秋左傳 卷26~29) | 천보당 텍 이
경부-춘추류(春秋類) | 석인본 | 상해 금장도서국(上海 錦章圖書局) | 20.3 × 13.3
孫鑛 韓范이 春秋左傳에 評點을 한 주석서 표제는 精校左傳杜林合註
-
18004
춘추좌전 권30~33(春秋左傳 卷30~33) | 천보당 텍 이
경부-춘추류(春秋類) | 석인본 | 상해 금장도서국(上海 錦章圖書局) | 20.3 × 13.3
孫鑛 韓范이 春秋左傳에 評點을 한 주석서 표제는 精校左傳杜林合註
-
18005
춘추좌전 권34~37(春秋左傳 卷34~37) | 천보당 텍 이
경부-춘추류(春秋類) | 석인본 | 상해 금장도서국(上海 錦章圖書局) | 20.3 × 13.3
孫鑛 韓范이 春秋左傳에 評點을 한 주석서 표제는 精校左傳杜林合註
-
18006
춘추좌전 권38~41(春秋左傳 卷38~41) | 천보당 텍 이
경부-춘추류(春秋類) | 석인본 | 상해 금장도서국(上海 錦章圖書局) | 20.3 × 13.3
孫鑛 韓范이 春秋左傳에 評點을 한 주석서 표제는 精校左傳杜林合註
-
18007
춘추좌전 권42~45(春秋左傳 卷42~45) | 천보당 텍 이
경부-춘추류(春秋類) | 석인본 | 상해 금장도서국(上海 錦章圖書局) | 20.3 × 13.3
孫鑛 韓范이 春秋左傳에 評點을 한 주석서 표제는 精校左傳杜林合註
-
18008
춘추좌전 권46~50(春秋左傳 卷46~50) | 천보당 텍 이
경부-춘추류(春秋類) | 석인본 | 상해 금장도서국(上海 錦章圖書局) | 20.3 × 13.3
孫鑛 韓范이 春秋左傳에 評點을 한 주석서 표제는 精校左傳杜林合註
-
18009
교정도주팔십일난경 권1~4(校正圖註八十一難經 卷1~4) | 천보당 텍 이
자부-의가류(醫家類) | 석인본 | 상해 천경당서국(上海 千頃堂書局) | 20 × 13.3
81개의 질문과 답의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한의학 기초 이론서 표제는 王李脉訣
-
18010
교정도주맥결 권1~4(校正圖註脉訣 卷1~4) | 천보당 텍 이
자부-의가류(醫家類) | 석인본 | 상해 천경당서국(上海 千頃堂書局) | 20 × 13.3
81개의 질문과 답의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한의학 기초 이론서 표제는 王李脉訣
-
18011
자부-의가류(醫家類) | 석인본 | 상해 천경당서국(上海 千頃堂書局) | 20 × 13.3
81개의 질문과 답의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한의학 기초 이론서 표제는 王李脉訣
-
18012
서대춘(徐大椿, 편저자) | 자부-의가류(醫家類) | 석인본 | 홍보재서국(鴻寶齋書局) | 20 × 13.2
중국 淸代의 명의 徐大椿이 지은 본초학 의서 표제는 大字足本 本草三家註 仁
-
18013
본초삼가합주 권1,2(本草三家合註 卷1,2) | 천보당 텍 이
서대춘(徐大椿, 편저자) | 자부-의가류(醫家類) | 석인본 | 홍보재서국(鴻寶齋書局) | 20 × 13.2
중국 淸代의 명의 徐大椿이 지은 본초학 의서 표제는 大字足本 本草三家註 義
-
18014
본초삼가합주 권3,4(本草三家合註 卷3,4) | 천보당 텍 이
서대춘(徐大椿, 편저자) | 자부-의가류(醫家類) | 석인본 | 홍보재서국(鴻寶齋書局) | 20 × 13.2
중국 淸代의 명의 徐大椿이 지은 본초학 의서 표제는 大字足本 本草三家註 義
-
18015
본초삼가합주 권5,6(本草三家合註 卷5,6) | 천보당 텍 이
서대춘(徐大椿, 편저자) | 자부-의가류(醫家類) | 석인본 | 홍보재서국(鴻寶齋書局) | 20 × 13.2
중국 淸代의 명의 徐大椿이 지은 본초학 의서 표제는 大字足本 本草三家註 義
-
18016
편작(扁鵲, 편저자) | 자부-의가류(醫家類) | 석인본 | 상해 천경당서국(上海 千頃堂書局) | 20 × 13.1
전국시대 명의로 알려진 편작의 灸法(뜸뜨는 법)을 담은 의서 표제는 校正 扁鵲心書 上
-
18017
편작(扁鵲, 편저자) | 자부-의가류(醫家類) | 석인본 | 상해 천경당서국(上海 千頃堂書局) | 20 × 13.1
전국시대 명의로 알려진 편작의 灸法(뜸뜨는 법)을 담은 의서 표제는 校正 扁鵲心書 上
-
18018
자부-의가류(醫家類) | 석인본 | 상해 천경당서국(上海 千頃堂書局) | 19.8 × 13.3
脈訣, 病機, 湯方, 藥賦 등에 관한 의서 표제는 醫家四要 元
-
18019
자부-의가류(醫家類) | 석인본 | 상해 천경당서국(上海 千頃堂書局) | 19.8 × 13.3
脈訣, 病機, 湯方, 藥賦 등에 관한 의서 표제는 醫家四要 元
-
18020
자부-의가류(醫家類) | 석인본 | 상해 천경당서국(上海 千頃堂書局) | 19.8 × 13.3
脈訣, 病機, 湯方, 藥賦 등에 관한 의서 표제는 醫家四要 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