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18661
-
18662
백거역(白居易,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필사본 | 辛卯 7월 | 25.2 × 17.7
당나라 중기의 대표적 시인인 백거이의 시선집 제목은 내지 첫구절에 의함
-
18663
이백(李白,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필사본 | 己未年 7월 | 27.3 × 19.5
당나라의 대표적 시인인 이백의 시를 엮어 만든 필사본 제목은 내지 첫구절에 의함
-
18664
-
18665
자부-병가류(兵家類) | 필사본 | 乙丑 5월 | 27.2 × 19.2
진나라 말기 隱士인 黃石公의 병법서로 처세술, 사람을 고르는 법과 부리는 법, 그리고 경영전략 등을 담고있다. 표제는 將家要覽
-
18666
-
18667
굴원(屈原,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필사본 | 乙丑 3월 | 26.3 × 18.2
屈原이 지은 373구 2,490자의 장편 서사시를 필사한 것 제목은 내지 첫구절에 의함
-
18668
소식(蘇軾,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필사본 | 19.7 × 12
蘇軾이 지은 前赤壁賦와 後赤壁賦를 필사한 것 제목은 내지 첫구절에 의함
-
18669
-
18670
-
18671
경부-소학류(小學類) | 활자본 | 29.3 × 20.3
조선시대의 초학 아동 교과서인 계몽편과 동몽선습 등을 함께 묶은 책 표제는 啟蒙萹
-
18672
진념조(陳念祖, 편저자) | 자부-의가류(醫家類) | 석인본 | 20.3 × 13.4
청나라 陳念祖가 편찬한 三言歌訣식의 醫書 표제는 陳修園 醫書四十八鍾
-
18673
장중경상한론원문천주 권1~6(張仲景傷寒論原文淺註 卷1~6) | 천보당 텍 이
장중경(張仲景, 편저자) | 자부-의가류(醫家類) | 석인본 | 20.3 × 13.4
後漢 때에 張仲景이 지은 醫書로 한의학의 중요한 원천이다 표제는 陳修園書
-
18674
의학종중록 권1~8(醫學從衆錄 卷1~8) | 천보당 텍 이
진념조(陳念祖, 편저자) | 자부-의가류(醫家類) | 석인본 | 20.3 × 13.4
청나라 陳念祖가 편찬한 醫書 표제는 陳修園書
-
18675
영소제요천주 권1~12(靈素提要淺註 卷1~12) | 천보당 텍 이
진념조(陳念祖, 편저자) | 자부-의가류(醫家類) | 석인본 | 20.3 × 13.4
<黃帝內經>의 靈樞, 素問의 주요 내용과 集註 표제는 陳修園書
-
18676
진념조(陳念祖, 편저자) | 자부-의가류(醫家類) | 석인본 | 20.3 × 13.4
救急에 필요한 經驗良方들을 담은 醫書 표제는 陳修園書
-
18677
진념조(陳念祖, 편저자) | 자부-의가류(醫家類) | 석인본 | 20.3 × 13.4
淸代의 醫書로 안과병의 증상과 치료 방제를 간략하게 기재 표제는 陳修園書
-
18678
-
18679
진념조(陳念祖, 편저자) | 자부-의가류(醫家類) | 석인본 | 20.3 × 13.4
淸代의 陳念祖가 景岳을 맹렬히 비판한 책 표제는 陳修園書
-
18680
침구대성 권1,2(針灸大成 卷1,2) | 천보당 텍 이
양계주(楊繼洲, 편저자) | 자부-의가류(醫家類) | 석인본 | 19.8 × 13
明나라 楊繼洲가 자신의 경험과 醫案을 융합하고 여러 名家의 침구문헌을 선별하여 수록 표제는 增補繪圖針灸大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