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8661
1855년 김일연 간찰(金逸淵 簡札)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텍 이
김일연(金逸淵, 1787~1866, 조선, 개인, 발급), 심능규(沈能圭, 1790~1862, 조선, 개인, 수취)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乙卯七念二日 | 33 × 44
-
8662
미상년 윤종의 간찰(尹宗儀 簡札)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텍 이
윤종의(尹宗儀, 1805~1886, 조선, 개인, 발급), ?(조선, 개인, 수취)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30.8 × 42
안부를 묻는 내용의 편지.
-
8663
미상년 윤종의 간찰(尹宗儀 簡札)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텍 이
윤종의(尹宗儀, 1805~1886, 조선, 개인, 발급), ?(수취)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卄五 | 29.5 × 46
내용 미상의 편지.
-
8664
미상년 이진화 간찰(李鎭華 簡札)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텍 이
이진화(李鎭華, 1771~?, 조선, 개인, 발급)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28.7 × 41
-
8665
미상년 ?동호 시문(東湖)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텍 이
東湖, 발급 | 시문류-시(詩) | 戊子年 7월 8일 | 21.7 × 41
-
8666
1836(1837)년 홍시모 간찰(洪蓍謨 簡札)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텍 이
홍시모(洪蓍謨, ?~1837, 조선, 개인, 발급), 소평 정안(小坪 靜案, 수취)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26.9 × 39.8
안부를 묻고 말씀하신 내용은 피차가 서로 양해하는 것이 어떻겠는가 하는 내용의 편지
-
8667
-
8668
미상년 이원조 간찰(李源祚 簡札)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텍 이
이원조(李源祚, 1792~1871, 조선, 개인, 발급), ?(개인, 수취)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34 × 61
시문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히는 내용의 편지.
-
8669
1847년 서호순 간찰(徐灝淳 簡札)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텍 이
서호순(徐灝淳, 1789~1848, 조선, 개인, 발급), 심능규(沈能圭, 1790~1862, 조선, 개인, 수취)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丁未二月初九日 | 27 × 40.6
삼척군수 徐灝淳이 심능규에게 보낸 편지.
-
8670
1847년 서호순 간찰(徐灝淳 簡札)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텍 이
서호순(徐灝淳, 1789~1848, 조선, 개인, 발급), 심능규(沈能圭, 1790~1862, 조선, 개인, 수취)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丁未四月初吉 | 28.3 × 43.6
삼척군수 徐灝淳이 심능규에게 보낸 편지.
-
8671
1840년 이인원 간찰(李寅元 簡札)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텍 이
이인원(李寅元, 1782, 조선, 개인, 발급), 심능규(沈能圭, 1790~1862, 조선, 개인, 수취)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庚臘卄五日 | 31.5 × 45.3
-
8672
미상년 홍희필 간찰(洪羲弼 簡札)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텍 이
홍희필(洪羲弼, 1762~1835, 조선, 개인, 발급), 심능규(沈能圭, 1790~1862, 조선, 개인, 수취)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26.8 × 35
-
8673
종하생 진방 시문(宗下生 鎭邦 詩文)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텍 이
종하생 진방(宗下生 鎭邦, 발급), 월포(月圃, 수취) | 시문류-시(詩) | 33 × 51.5
月圃 沈能圭가 사마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가게 된 것을 축하하며 지어 올린 시
-
8674
미상년 서대순 간찰(徐戴淳 簡札)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텍 이
서대순(徐戴淳, 1805~1871, 조선, 개인, 발급)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31 × 46
보내준 전복에 감사하고 錄紙를 언급함
-
8675
미상년 신서집 만사(辛瑞集 輓詞)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텍 이
신서집(辛瑞集, 발급) | 시문류-만사·만시(輓詞·輓詩) | 24 × 65
돌아간 친구를 그리워하며 지은 시 3수.
-
8676
미상년 송수인 간찰(宋壽仁 簡札)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텍 이
송수인(宋壽仁, 조선, 개인, 발급), 심능규(沈能圭, 1790~1862, 조선, 개인, 수취)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27 × 41
.
-
8677
1859년 황덕승 시문(黃德升 詩文)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텍 이
황덕승(黃德升, 1810, 조선, 개인, 발급), 심능규(沈能圭, 1790~1862, 조선, 개인, 수취) | 시문류-시문 | 乙未年 6月 上澣 | 34 × 50
昏, 掀, 痕, 猿을 운자로 지은 次韻詩.
-
8678
1859년 김병성 시문(金秉聲 詩文)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텍 이
김병성(金秉聲, 1807, 개인, 발급), 월포장(심능규, 수취) | 시문류-시문 | 內猿赤猪下澣 | 28.5 × 51.7
昏, 掀, 痕, 猿을 운자로 지은 次韻詩.
-
8679
1859년 조서년 시문(趙徐年 詩文)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텍 이
조서년(趙徐年, 1812, 개인, 발급), 심능규(沈能圭, 1790~1862, 개인, 수취) | 시문류-시문 | 37 × 52.5
沈 上舍 放猿韻으로 昏, 掀, 痕, 猿을 운자로 지은 次韻 和詩.
-
8680
1859년 권교인 시문(權敎仁 詩文)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텍 이
권교인(權敎仁, 개인, 발급), 심능규(沈能圭, 1790~1862, 개인, 수취) | 시문류-시문 | 31.5 × 38
沈 上舍의 放倡韻을 차운한 시. 운자는 昏, 掀, 痕, 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