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낙운재유록(洛雲齋遺錄)
기본정보
- ㆍ자료ID
- A004_02_B00107_001
- ㆍ입수처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 ㆍ자료유형
- 고전적
- ㆍ유형분류
- 집부-별집류(別集類)
- ㆍ주제분류
- ㆍ서명
- 낙운재유록 / 洛雲齋遺錄
- ㆍ권차명
- 낙운재유록 / 洛雲齋遺錄
- ㆍ저자
- 김현구(金顯球, 1864~1936, 기타, 저자)
- ㆍ간행정보
- 간사지: 간사자: 간사년: 서기년: 왕력: 추정시기:
- ㆍ형태정보
- 판종: 석인본 권수: 1 책수: 1 질: 완질 전: 장_매: 절_면: 책차: 1 권차: 1 점수: 1 크기: 26.2 × 17.8 접은크기: × 장정: 선장 계선: 유계 판구: 어미: 상하향일엽화문어미(上下向一葉花紋魚尾) 광곽: 사주쌍변 반곽크기: × 단수: 행자수: 14행 32자 주쌍행: 서명(署名): 주표기:
- ㆍ일반주기
-
서명사항:서:발:정의: 주기사항:
- ㆍ소장본주기
-
장서관련기록:인장종수: 2인문판독: 조인환인(曺仁煥印) 인장크기: 2.6 * 2.6인문판독: - 인장크기: 1.9 * 1.9장정:
- ㆍ요약주기
-
정의: 조선 말~일제강점기 활동한 김현구(金顯球, 1864~1936)의 문집.내용: 고종 때 중추원(中樞院) 의관(議官)을 지낸 김현구의 문집.자료특성:
- ㆍ언어주기
- 한자
- ㆍ기타사항
- ㆍ총서사항
- ㆍ현소장처
- ㆍ지정문화재
- 이름: 분류: 지정년도:
해제
본 문헌은 조선 말~일제강점기 활동한 김현구(金顯球, 1864~1936)의 문집으로, 간행시기와 간행지역은 명확하지 않다. 저자 김현구는 본관이 김해(金海)이며, 자(字)는 성하(聖河), 호(號)는 낙운재(洛雲齋)이다.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을 지냈다.
선장(線裝)으로 장책(粧冊)되었다. 본 해제 대상의 판종(板種)은 석인본(石印本)이다. 표제(表題)는 ‘낙운재유록(洛雲齋遺錄)’이며, 제첨(題籤)되어 있다. 변란(邊欄)은 사주쌍변(四周雙邊)이며, 판심(版心)의 어미(魚尾)는 상하향일엽화문어미(上下向一葉花紋魚尾)이다. 어미 아래에는 판심제(版心題), 편명(篇名), 장차(張次)가 위치한다. 편명은 「서(序)」, 「문(文)」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본문은 계선(界線)이 있으며, 매면(每面)마다 14행(行) 32자(字)로 구성되어 있다. 본 문헌의 크기는 세로 26.2cm, 가로 17.8cm이다.
해당 문헌은 서문, 저자의 사진, 본문, 발문, 분질기(分秩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문 제1면 하단에는 [조인환인(曺仁煥印)], 저자의 사진 하단에는 미상의 인문이 2과(顆) 답인되어 있다. 이 중 [조인환인]을 통해 해당 문헌이 창녕조씨 명숙공가의 조인환(1888~?)의 옛 소장본이었음을 알 수 있다. 조인환은 조석삼의 증손(曾孫)으로 자가 원도(元道)이다.
원문
원문이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