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대학언해(大學諺解)
기본정보
- ㆍ자료ID
- A004_01_B00264_001
- ㆍ입수처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 ㆍ자료유형
- 고전적
- ㆍ유형분류
- 경부-사서류(四書類)
- ㆍ주제분류
- ㆍ서명
- 대학언해 / 大學諺解
- ㆍ권차명
- 대학언해 / 大學諺解
- ㆍ저자
- ㆍ간행정보
- 간사지: 간사자: 간사년: 서기년: 왕력: 추정시기:
- ㆍ형태정보
- 판종: 목판본 권수: 책수: 질: 전: 장_매: 절_면: 책차: 권차: 점수: 1 크기: 33.3 × 22.3 접은크기: × 장정: 선장 계선: 유계 판구: 어미: 상하내향일엽화문어미(上下內向一葉花紋魚尾), 이엽화문어미(二葉花紋魚尾) 광곽: 사주단변 반곽크기: × 단수: 행자수: 10행 19자 주쌍행: 서명(署名): 주표기:
- ㆍ일반주기
-
서명사항:서:발:정의: 주기사항:
- ㆍ소장본주기
-
장서관련기록:인장종수:인문판독: 혜재조진사댁장서인(蕙齋曺進士宅藏書印) 인장크기: 3.2 * 3.2인문판독: 조인환인(曺仁煥印) 인장크기: 2.3 * 2.3인문판독: 동운재장(東雲齋藏)조 인장크기: 3.6 * 3.6장정:
- ㆍ요약주기
-
정의: 『대학(大學)』을 선조(宣祖)의 명으로 교정청(校正廳)에서 언해(諺解)한 문헌.내용: 판종(板種)은 목판본(木板本)이다. 간행지역과 간행시기는 명확하지 않다.자료특성:
- ㆍ언어주기
- 병기 국한문혼용
- ㆍ기타사항
- ㆍ총서사항
- ㆍ현소장처
- ㆍ지정문화재
- 이름: 분류: 지정년도:
- ㆍ수장고
- 이름: 서가위치: 단위치:
해제
해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원문 / 국역
해당 문헌은 유교 경전 중 하나인 『대학(大學)』을 선조(宣祖)의 명으로 교정청(校正廳)에서 언해(諺解)한 문헌이다. 본 해제 대상의 판종(板種)은 목판본(木板本)이다. 간행지역과 간행시기는 명확하지 않다.
선장(線裝)으로 장책(粧冊)되었다. 표제(表題)는 ‘대학언(大學諺)’이다. 뒷표지에는 ‘대학’이라는 서명 외에도 ‘시전언(詩傳諺)’이라는 묵서가 확인된다. 변란(邊欄)은 사주단변(四周單邊)이며, 판심(版心)의 어미(魚尾)는 대개 상하내향일엽화문어미(上下內向一葉花紋魚尾)이나 간혹 ‘이엽화문어미(二葉花紋魚尾)’도 혼재되어 나타난다. 어미 사이에는 판심제(版心題)와 장차(張次)가 위치한다. 계선(界線)이 있으며, 본문은 매면(每面)마다 10행(行) 19자(字)로 구성되어 있다. 언해문은 1자(字) 낮춰 제시하였다. 본 문헌의 크기는 세로 33.3cm, 가로 22.3cm이다.
권수제면(卷首題面)의 하단에는 [혜재조진사댁장서인(蕙齋曺進士宅藏書印)], [조인환인(曺仁煥印)], [동운재장(東雲齋藏)]이 답인되어 있다. 이 중 [혜재조진사댁장서인]과 [조인환인]을 통해 해당 문헌이 창녕조씨(昌寧曺氏) 명숙공가(命肅公家) 소장 문헌임을 알 수 있다. 인문에서 표현되는 진사(進士)는 조명숙(曺命肅, 1712~1772)의 후손 중 조석삼(曺錫三, 1813~1896)이 진사시(進士試)에 입격(入格)하였기에 나타난 표현으로 여겨진다. 조석삼은 조환진(曺桓鎭)의 아들로, 조명숙의 증손(曾孫)에 해당한다. 조석삼의 자(字)는 공달(公達), 호(號)는 황포(篁圃)이며, 1888년(고종 25) 진사시에 입격하였다. 조인환(1888~?)은 조석삼의 증손(曾孫)으로 자가 원도(元道)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