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고려사절요 12(高麗史節要 12)
기본정보
- ㆍ자료ID
- A004_01_B00070_008
- ㆍ입수처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 ㆍ자료유형
- 고전적
- ㆍ유형분류
- 사부-편년류(編年類)
- ㆍ주제분류
- ㆍ서명
- 고려사절요 / 高麗史節要
- ㆍ권차명
- 고려사절요 12 / 高麗史節要 12
- ㆍ저자
- 조선사편수회(朝鮮史編修會)
- ㆍ간행정보
- 간사지: 간사자: 조선사편수회 간사년: 1932 서기년: 왕력: 추정시기:
- ㆍ형태정보
- 판종: 영인본 활자본 권수: 32 책수: 24 질: 완질 전: 장_매: 절_면: 책차: 8 권차: 12 점수: 1 크기: 20.2 × 17 접은크기: × 장정: 선장 계선: 유계 판구: 대흑구(大黑口) 어미: 상하내향삼엽화문어미(上下內向三葉花紋魚尾), 흑어미(黑魚尾) 광곽: 사주쌍변 반곽크기: × 단수: 행자수: 10행 19자 주쌍행: 서명(署名): 주표기:
- ㆍ일반주기
-
서명사항:서:발:정의: 주기사항:
- ㆍ소장본주기
-
장서관련기록:인장종수: 1인문판독: 혜재조진사댁장서인(蕙齋曺進士宅藏書印) 인장크기: 3.2 * 3.2장정:
- ㆍ요약주기
-
정의: 고려시대 전반을 편년체로 정리한 역사서.내용: 1452년(문종 2) 김종서(金宗瑞, 1382~1453) 외 28인이 고려시대 전반을 편년체로 정리한 역사서이다.자료특성: 1932년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에서 당시 경성제국대학(京城帝國大學)에 소장되어 있던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를 저본으로 영인(影印)한 것이다.
- ㆍ언어주기
- 한자
- ㆍ기타사항
- ㆍ총서사항
- ㆍ현소장처
- ㆍ지정문화재
- 이름: 분류: 지정년도:
- ㆍ수장고
- 이름: 서가위치: 단위치:
해제
본 문헌은 1932년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에서 당시 경성제국대학(京城帝國大學)에 소장되어 있던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를 저본으로 영인(影印)한 것이다. 해당 저본은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을해자본(乙亥字本)(청구기호: 奎貴3556)으로, 권5~6, 권18이 영인 당시 결락되었던 문헌이다. 『고려사절요』는 1452년(문종 2) 김종서(金宗瑞, 1382~1453) 등에 의해 편찬되었으며 중종(中宗) 재위 시기에 을해자로 다시 인출한 문헌으로, 고려시대의 역사를 살펴보기 위해 필수적인 문헌 중 하나이다. 해제 대상은 영인본을 기준으로 완질본(完帙本)에 해당한다. 선장(線裝)으로 장책(粧冊)되었다. 표제(表題)는 ‘고려사절요’이며, 제첨(題籤)되어 있다. 표제 하단에는 ‘권지일(卷之一)’과 같은 형식으로 권차(卷次)를 매겨두었다. 편제면(編題面)에는 ‘조선사료총간(朝鮮史料叢刊)’이라는 편제(編題)가 나타나 해당 문헌이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사료총간 중 하나임을 알 수 있다. 편제면의 뒷면에는 해당 영인본의 저본이 경성제국대학의 구(舊) 규장각(奎章閣) 소장 책이며, 원본은 전체 35권 중 3권이 결락된 것이라는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변란(邊欄)은 사주쌍변(四周雙邊)이며, 판심(版心)의 어미(魚尾)는 대개 상하내향삼엽화문어미(上下內向三葉花紋魚尾)로 흑어미(黑魚尾)가 혼입되어 있다. 상하상비(上下象鼻)에는 대흑구(大黑口)가 확인된다. 어미 사이에는 판심제(版心題), 권차, 장차(張次)가 위치한다. 계선(界線)이 있으며, 본문은 매면(每面)마다 10행(行) 19자(字)로 구성되어 있다. 주석은 쌍행(雙行)으로 제시하였다. 본 문헌의 크기는 세로 20.2cm, 가로 17.0cm이다.
영인의 저본이 되는 원본에는 [안동김씨(安東金氏)]와 ‘수해준원(守海濬源)’으로 판독되는 인문(印文)이 답인(踏印)되어 있으며, 편제면에는 [혜재조진사댁장서인(蕙齋曺進士宅藏書印)]이 답인되어 있다. 이 중 [혜재조진사댁장서인]을 통해 해당 문헌이 창녕조씨(昌寧曺氏) 명숙공가(命肅公家) 소장 문헌임을 알 수 있다. 인문에서 표현되는 진사(進士)는 조명숙(曺命肅, 1712~1772)의 후손 중 조석삼(曺錫三, 1813~1896)이 진사시(進士試)에 입격(入格)하였기에 나타난 표현으로 여겨진다. 조석삼은 조환진(曺桓鎭)의 아들로, 조명숙의 증손(曾孫)에 해당한다. 조석삼의 자(字)는 공달(公達), 호(號)는 황포(篁圃)이며, 1888년(고종 25) 진사시에 입격하였다.
원문
원문이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