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백세영수첩(百歲榮壽帖)
기본정보
- ㆍ자료ID
- A004_01_B00069_001
- ㆍ입수처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 ㆍ자료유형
- 고전적
- ㆍ유형분류
- 집부-총집류(總集類)
- ㆍ주제분류
- ㆍ서명
- 백세영수첩 / 百歲榮壽帖
- ㆍ권차명
- 백세영수첩 / 百歲榮壽帖
- ㆍ저자
- ㆍ간행정보
- 간사지: 간사자: 간사년: 서기년: 왕력: 추정시기:
- ㆍ형태정보
- 판종: 목활자본 권수: 1 책수: 1 질: 완질 전: 장_매: 절_면: 책차: 1 권차: 1 점수: 1 크기: 30.0 × 20.3 접은크기: × 장정: 선장 계선: 유계 판구: 어미: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花紋魚尾) 광곽: 반곽크기: × 단수: 행자수: 10행 19자 주쌍행: 서명(署名): 주표기:
- ㆍ일반주기
-
서명사항:서:발:정의: 주기사항:
- ㆍ소장본주기
-
장서관련기록:인장종수: 2인문판독: 안춘근인(安春根印) 인장크기: 2.5 * 2.5인문판독: 남애(南涯) 인장크기: 2.5 * 2.5장정:
- ㆍ요약주기
-
정의: 이용화(李容華)가 100세 넘은 것을 축하하기 위해 지은 시문.내용: 1865년(고종 2) 조정에서 종실(宗室) 후손인 이용화(李容華)가 101세가 되던 해를 맞아 지어진 시문을 수합한 책.자료특성:
- ㆍ언어주기
- ㆍ기타사항
- ㆍ총서사항
- ㆍ현소장처
- ㆍ지정문화재
- 이름: 분류: 지정년도:
해제
해당 문헌은 1865년(고종 2) 조정에서 종실(宗室) 후손인 이용화(李容華)가 101세가 되던 해를 맞아 지어진 시문을 수합한 책이다. 이용화는 당시 1865년 8월 15일 편전(便殿)에서 고종을 인견(引見)하였다. 이용화는 태종의 오남(五男)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후손이며, 고종을 알현한 뒤 종친과 신하에게 축수하는 시를 받았는데, 본 해제 대상에 수록된 시가 바로 이것이다. 간행 시기와 간행지역은 명확하지 않다.
선장(線裝)으로 장책(粧冊)되었다. 본 해제 대상의 판종(板種)은 목활자본(木活字本)이다. 표제(表題)는 ‘백세영수첩(百歲榮壽帖)’이다. 변란(邊欄)은 사주단변(四周單邊)이며, 판심(版心)의 어미(魚尾)는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花紋魚尾)이다. 어미 아래에는 판심제(版心題), 장차(張次)가 위치하며, 판심제는 ‘백세영수편(百歲榮壽編)’이다. 본문은 매면(每面)마다 10행(行) 19자(字)로 구성되어 있다. 본 문헌의 크기는 세로 30.0cm, 가로 20.3cm이다.
해당 문헌은 권수에 이용화의 인견 사유를 밝힌 내용, 각종 시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해당 문헌의 표지 이면(裏面)에는 1980년 남애(南涯) 안춘근(安春根, 1926~1993)이 남긴 해당 문헌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제1면 하단에는 [안춘근인(安春根印)], [남애(南涯)]라는 인문이 답인(踏印)되어 있다. 이를 통해 해당 문헌이 안춘근의 장서였음을 알 수 있다.
원문
원문이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