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1862년 원세준 간찰(元世準 簡札)
기본정보
- ㆍ자료ID
- A004_01_A01036_001
- ㆍ입수처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 ㆍ자료유형
- 고문서
- ㆍ유형분류
- 서간통고류-위장(慰狀)
- ㆍ주제분류
- ㆍ문서명
- 1862년 원세준 간찰 / 元世準 簡札
- ㆍ발급자
-
원세준(元世準, 1824~?)
원문내용:추정:
- ㆍ수취자
-
심원탁(沈遠鐸, 1826~1868)
원문내용:추정:
- ㆍ발급시기
-
1863년 5월 1일간지연도:왕력:추정시기:본문: 癸亥 五月 初一日
- ㆍ형태정보
-
점수: 1크기: 27.5 × 26.9접은크기: ×서명:인장종수:보존상태:언어:자료형태:
- ㆍ정의
- 1863년 5월 1일에 원세준(元世準, 1824~?)이 심능규(沈能圭, 1790~1862)의 상에 보낸 위장(慰狀)
- ㆍ기타사항
- ㆍ현소장처
- 율곡연구원
- ㆍ지정문화재
- 이름: 분류: 지정년도:
- ㆍ수장고
- 이름: 서가위치: 단위치:
해제
1863년 5월 1일에 원세준(元世準, 1824~?)이 심능규의 상에 보낸 위장(慰狀)이다. 발급자는 자신의 이름을 그대로 쓴 것으로 보면 상대와 평교간 이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상대 선부군의 상사는 매우 경악하여 무어라 드릴 말씀이 없다고 하면서, 연세가 비록 높았다고는 하나 평소 기력이 강왕(康旺)하고 학력이 정확(精確)하여 능히 수를 누리며 선비의 기운을 유지할 것이라 묵묵히 기도 해 왔는데, 이러한 지경에 이르게 될 줄은 생각조차 하지 못했다고 했다. 남기신 『인경(仁經)』 1부는 평생의 정력이 드러나는 것으로 후세에도 기릴 만하다는 등 망자의 생전 이력과 모습을 회고하면서 애도하는 심경을 드러내었다. 자신은 고개와 바다에 막혀 영궤(靈几)에 곡하러 달려오지 못하고 한 폭의 위장으로 대신하게 되었다고 하면서, 끝으로 상주에게 슬픔을 절제하고 변화에 순응하여 기력을 때에 맞게 잘 지탱하라고 하며 위로하였다.
본문에서 언급된 ‘선부군’의 경우 본문에서 망자의 저술로 언급된 『인경』 등을 통해 보면 이 간찰이 발급되기 한 해 전인 임술년(1862) 8월에 사망한 월포(月圃) 심능규(沈能圭, 1790~1862)로 파악되므로, 본문과 피봉에 기록된 ‘심석사’ 역시 심능규의 아들 심원탁(沈遠鐸, 1826~1868)임을 알 수 있다. 『인경』은 심능규의 저서로, 유가 경전 및 성리학 전적에서 인설(仁說)을 뽑아 수록‧편찬하여 1849년에 간행되었다. 또한 위장은 보통 전폭의 1/2 하단에 아주 작은 글씨로 해서체로 작성하는 것이 통례이므로 이 문서는 종이의 폭이나 서체 등에서 일반적인 위장의 격식에 맞춰 작성된 것은 아니다. 하지만 내용상 위장에 사용하는 용어와 투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당연히 위장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을 통해 당시 행해졌던 상제의 한 단면 및 위장의 격식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발급자 원세준은 자는 유평(幼平), 호는 죽포(竹圃), 본관은 원주(原州), 부는 원석귀(元錫龜), 생부는 원석형(元錫亨)이다. 생가 형제로 형은 원세범(元世范), 아우는 원세순(元世洵, 1832~?)이다. 1855년(철종6) 식년시 생원 2등으로 입격하였다. 1858년(철종9) 조하망(曺夏望)의 복관(復官)에 반대하는 관학유생 연명상소에 이름이 확인되고, 1887년(고종24) 6월 12일 이비정사(吏批政事)에서 북부도사(北部都事)에 임명되었다가 3일 뒤인 15일에 신병정사(身病呈辭)를 제출하고 체개(遞改)된 이력이 확인된다.
- · 『承政院日記』 율곡연구원, 『강원국학자료총서03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서도기획, 2020.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수집사료해제집 1편:강릉 창녕조씨 소장자료 목록) 한국학자료센터 강원권역센터
참고자료
원문
省禮言 先府君喪事 驚愕之極 更何仰喩 伏惟春秋 雖至隆邵 平時氣度康旺 學力精確 克享大耋 維持士氣 有所默禱 豈料奄至斯境耶 天理冥漠 無以呼訴 仁經一部 足見平生精力 而當有後世子雲 以是足慰後生之期望萬一者否 以哀一生濡染庭訓之餘 必有狀德之起艸 留俟立言君子 用作不朽之傳 此亦是孝識之一端 不佞區區之祝 至此而已 坐此嶺海之隔 不得趨哭靈几之前 以洩萬一之忱 一幅替申 亦後於人 撫念平昔 如負大何 惟祝節哀順變 氣力隨時支安 不備疏禮 癸亥 五月 初一日 元世準 疏上 沈碩士 大孝 哀前
沈碩士 大孝 哀前 疏上 省禮謹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