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미상년 김일연 간찰(金逸淵 簡札)
기본정보
- ㆍ자료ID
- A004_01_A00940_001
- ㆍ입수처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 ㆍ자료유형
- 고문서
- ㆍ유형분류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ㆍ주제분류
- ㆍ문서명
- 미상년 김일연 간찰 / 金逸淵 簡札
- ㆍ발급자
-
김일연(金逸淵, 1787~1866,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수취자
-
심능규(沈能圭, 1790~1862,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발급시기
-
간지연도:왕력:추정시기:본문:
- ㆍ형태정보
-
점수: 1크기: 23 × 28.5접은크기: ×서명:인장종수:보존상태:언어:자료형태:
- ㆍ정의
- ㆍ기타사항
- ㆍ현소장처
- 율곡연구원
- ㆍ지정문화재
- 이름: 분류: 지정년도:
- ㆍ수장고
- 이름: 서가위치: 단위치:
해제
1832~1835년 사이에 김일연이 심능규에게 보낸 간찰로 추정된다. 요즘 소식이 막혀 서글퍼하던 차에 서신을 받고 혹한에 형의 건강이 좋다는 소식을 듣게 되어 위로됨이 그지없다고 하였다. 자신의 상황은 예전 그대로인데 근심거리가 한두 가지가 아니라 고민이라고 하고, 아울러 막내동생도 역시 잘 지낸다고 안부를 전했다. 혼인 때 사용할 도구는 편지에 기록한 대로 갖춰달라고 하였는데 혼인 때가 되면 사람을 보내 가져가는 것이 어떻겠냐고 하였다. 따로 적어서 편지와 같이 보낸 쪽지 내용은 명절이 가까우니 한번 이런 길을 열어놓으면 훗날의 폐단은 말로 하기 어려울 것이기에 일절 시행하지 못하게 하여 형의 의도에 부합하지 못해 한탄스럽다고 하였다. 조지(朝紙)는 더 온 것이 없다고 하였다.
원문
拜謝狀.
間阻瞻悵. 卽拜審窮沍,
兄候萬重, 仰慰何等. 弟省狀
如昨, 私幸, 餘外愁擾, 不一其端,
悶苦悶苦. 舍季亦安侍耳.
敎婚具, 依錄奉借計, 臨時送人, 持
去如何. 胎送所志名節, 在卽一開
此路, 則後弊難言, 故一不許施.
勤示如此, 不得奉副, 極歎極歎. 朝紙
姑無復來者耳. 餘擾甚不備.
卽 弟逋 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