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미상년 미상인 간찰(簡札)
기본정보
해제
[19세기 초중반] 강릉대도호부사(江陵大都護府使)가 월포(月圃) 심능규(沈能圭, 1790~1862)에게 보내는 간찰이다. 주요 내용은 강릉대도호부사가 심능규에게 지난 달 조보(朝報)를 보내니, 본 후 즉시 돌려달라는 것이다. 수신자 심능규의 자는 사룡(士龍)이고 호는 월포(月圃)·신천당(信天堂)·천청당(天聽堂)이며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강릉에 살면서 『인경부주(仁經附註)』를 편찬한 인물이다. 문집으로 『월포기(月圃記)』가 전한다. 조보는 승정원에서 정부의 공보 매체 내지 관보로서 발행한 신문으로 기별·기별지(奇別紙)·조지(朝紙)·저보(邸報)·저장(邸狀)·저지(邸紙)·난보(爛報)·한경보(漢京報) 등으로도 불렸다. 조보에는 국왕의 전교, 유생과 관료의 상소, 국왕의 비답, 조정의 인사 발표, 각 지방의 사회문제 등의 소식이 기록되어 있었다. 관아에서는 역마나 관리 편으로 조보를 빠르게 받아볼 수 있었기에 지방에서는 고을 수령이 서울에서 받은 조보를 지인들에게 보내주는 문화를 확인할 수 있다.
원문
謹拜謝上[江陵大都護府使印]
省式阻餘承拜惠狀謹審比寒靜養體事萬重區區仰慰實愜願言服弟此時紛撓已無可喩而間遭東床情境不忍言不忍言奈何奈何向來枉旆門外阻閽未得拜叙不勝悵歎敢望諒恕耶家仲幸依前樣耳示來覽悉而孫妻事當嚴處矣嶺營姑無便都留不備謝禮 前月爛報三軸付呈覽後卽還如何 卽日服弟逋拜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