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미상년 미상인 간찰(簡札)
기본정보
- ㆍ자료ID
- A004_01_A00908_001
- ㆍ입수처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 ㆍ자료유형
- 고문서
- ㆍ유형분류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ㆍ주제분류
- ㆍ문서명
- 미상년 미상인 간찰 / 簡札
- ㆍ발급자
-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수취자
-
원문내용:추정:
- ㆍ발급시기
-
간지연도:왕력:추정시기:본문:
- ㆍ형태정보
-
점수: 1크기: 24.5 × 29접은크기: ×서명:인장종수:보존상태:언어:자료형태:
- ㆍ정의
- 가을 계절 인사와 조보와 都政에 대한 내용을 전함
- ㆍ기타사항
- ㆍ현소장처
- 율곡연구원
- ㆍ지정문화재
- 이름: 분류: 지정년도:
- ㆍ수장고
- 이름: 서가위치: 단위치:
해제
[19세기 초중반] 편지를 받은 즉시, 운제(運弟)가 월포(月圃) 심능규(沈能圭, 1790~1862)에게 보내는 간찰이다. 주요 내용은 상대방이 부탁한 조보(朝報)를 남에게 빌려줘서 바로 보내드리지 못한다고 양해를 구하고, 도목정사(都目政事)는 아직 소식을 듣지 못해 양양부사(襄陽府使)가 누구인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수신자 심능규의 자는 사룡(士龍)이고 호는 월포(月圃)·신천당(信天堂)·천청당(天聽堂)이며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강릉에 살면서 『인경부주(仁經附註)』를 편찬한 인물이다. 문집으로 『월포기(月圃記)』가 전한다. 조보는 승정원에서 정부의 공보 매체 내지 관보로서 발행한 신문으로 기별·기별지(奇別紙)·조지(朝紙)·저보(邸報)·저장(邸狀)·저지(邸紙)·난보(爛報)·한경보(漢京報) 등으로도 불렸다. 조보에는 국왕의 전교, 유생과 관료의 상소, 국왕의 비답, 조정의 인사 발표, 각 지방의 사회문제 등의 소식이 기록되어 있었다. 도목정사는 해마다 6월과 섣달에 이조와 병조에서 관리의 근무 성적을 평가하여 벼슬을 올리거나 내리는 인사 발표를 말한다.
원문
秋雨連日新涼可掬際承惠書謹審兄起居萬衛幷切慰喜萬萬弟省事幸安身病間添落席叫苦悶憐何喩朝紙借人未還不得仰呈都政姑未聞消息襄陽之誰某何以知之耶局債藥局兄必棄甲曳兵而走勿復以怠兵有誤勝籌也奉呵餘在伏枕倩草不備謝拜謝上 卽運弟頓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