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미상년 김노겸 간찰(金魯謙 簡札)
기본정보
- ㆍ자료ID
- A004_01_A00851_001
- ㆍ입수처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 ㆍ자료유형
- 고문서
- ㆍ유형분류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ㆍ주제분류
- ㆍ문서명
- 미상년 김노겸 간찰 / 金魯謙 簡札
- ㆍ발급자
-
김노겸(金魯謙, 1783~1853, 조선,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수취자
-
심능규(沈能圭, 1790~1862, 조선,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발급시기
-
간지연도:왕력:추정시기:본문:
- ㆍ형태정보
-
점수: 1크기: 22.6 × 40.8접은크기: ×서명:인장종수:보존상태:언어:자료형태:
- ㆍ정의
- ㆍ기타사항
- ㆍ현소장처
- 율곡연구원
- ㆍ지정문화재
- 이름: 분류: 지정년도:
- ㆍ수장고
- 이름: 서가위치: 단위치:
해제
미상년(1844~45년 사이 추정)에 김노겸(金魯謙, 1781~1853)이 작성한 5언 장율의 시문(詩文)이다. 발급 연월일 및 발급자 정보 모두 기재하지 않고 전반부에 서문이 없이 말미에 시를 지은 경위를 간략이 기재하는 등 형태사항으로 봤을 때 간찰 별지의 형태로 발급되었고, 서체나 내용에서 드러나는 정황을 통해 발급자는 ‘김노겸’이며, 번 및 번 간찰과 비슷한 시기에 발급되었거나 또는 이와 함께 동봉되어 발급되었을 것으로 유추된다. 본문 가운데 상대를 ‘신천옹(信天翁)’으로 언급하는 내용 등을 통해 수신자는 월포(月圃) 심능규(沈能圭, 1790~1862)임을 알 수 있다. 개략적인 내용은, 성성이[猩猩]는 성성이를 생각하고 호한(好漢)은 호한을 생각하는 이치임에도 상대와 자신 두 백발의 늙은이는 서로의 견해에 간혹 온도차이가 있음을 언급하면서, 호가 ‘신천(信天)’인 상대가 하나의 이치[一理]를 완미하지 않고 이지러진 세상에서 한탄만 하면서 광명을 버리고 명리(名利)만 부러워하느냐고 하였다. 경호(鏡湖)와 월포 사이에서 고상히 누워 지내며 인간세상을 관망하길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다. 말미에는 “한 편의 고풍 시를 서둘러 지어보았으니, 부족하나마 형에게 드려 언짢은 마음을 풀어드립니다.[走草一篇古風 聊供吾兄解悶]”라고 하여 시를 짓게 된 경위를 간략히 언급하고 있다. 발급자로 추정되는 김노겸은 자는 원익(元益), 호는 성암(性菴)·길고자(吉皐子), 본관은 경주(慶州), 부친은 사헌부감찰 김사주(金師柱), 아우는 김노석(金魯錫)이다. 1814년(순조14) 식년시에 진사로 입격하였고, 음관으로 혜릉참봉‧예빈시주부‧홍산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성암집』이 있다.
원문
猩猩情猩猩好漢情好漢白頭兩衰翁若或冷暖看便不算好漢但恨便汲短不然及杆榦嗟我信天翁何不一理玩缺陷此世界窮廬空自歎捨却光明藏還羨名利伴但願高明反勿以得與喪胸中交氷炭鏡湖與月圃高臥好樓觀俯瞰人間世春水自渙渙一切如是觀萬事不足惋走草一篇古風聊供吾兄解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