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미상년 미상인 간찰(簡札)
기본정보
- ㆍ자료ID
- A004_01_A00821_001
- ㆍ입수처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 ㆍ자료유형
- 고문서
- ㆍ유형분류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ㆍ주제분류
- ㆍ문서명
- 미상년 미상인 간찰 / 簡札
- ㆍ발급자
-
조선,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수취자
-
심능규(沈能圭, 1790~1862, 조선,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발급시기
-
간지연도:왕력:추정시기:본문:
- ㆍ형태정보
-
점수: 1크기: 24.5 × 38접은크기: ×서명:인장종수:보존상태:언어:자료형태:
- ㆍ정의
- ㆍ기타사항
- ㆍ현소장처
- 율곡연구원
- ㆍ지정문화재
- 이름: 분류: 지정년도:
- ㆍ수장고
- 이름: 서가위치: 단위치:
해제
19세기 초중반에 미상인이 월포(月圃) 심능규(沈能圭, 1790~1862)에게 보낸 간찰이다. 주요 내용은 발신자가 상대방에게 받은 과거 청탁에 대하여 부응하지 못한 사정을 적어 보내는 것이다. 발신자는 상대방의 부탁으로 이조판서에게 일전에 부탁한 것이 한두 번이 아니라서 지금은 더 이상 거듭 부탁할 수 없고, 복시(覆試)도 영남 사람이 아니라며 안타까운 사정을 전했는데, 이를 통해 상대방이 이전에 인사 청탁과 과거 청탁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신자 심능규의 자는 사룡(士龍)이고 호는 월포(月圃)·신천당(信天堂)·천청당(天聽堂)이며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강릉에 살면서 『인경부주(仁經附註)』를 편찬한 인물이다. 조선 후기 인사 청탁과 과거 청탁 과정에서 오가는 편지로 당시의 청탁 문화를 알 수 있는 간찰이다.
원문
謝上午間惠書與餠良感勤眷且飫野味謝不容喩緣於硯筆俱無帶去未有謝矣卽又拜承晩來兄體萬重仰慰仰慰弟玩賞亦覺勞憊而旣率內眷陪行無人竟未免戞過悵歎何比敎意拜悉而吏判許曾者所囑非一再則今無申囑之可者而無時擧論近未見其例至於覆試則非嶺之東西之人也果有緊切者已有先着鞭者緊切已無聊而止奈何奈何明當前進無緣更晤更覺怊悵不備謝禮卽弟煩逋拜謝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