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미상년 유영하 간찰(柳榮河 簡札)
기본정보
- ㆍ자료ID
- A004_01_A00795_001
- ㆍ입수처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 ㆍ자료유형
- 고문서
- ㆍ유형분류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ㆍ주제분류
- ㆍ문서명
- 미상년 유영하 간찰 / 柳榮河 簡札
- ㆍ발급자
-
유영하(柳榮河, 조선,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수취자
-
심능규(沈能圭, 1790~1862, 조선,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발급시기
-
간지연도:왕력:추정시기:본문:
- ㆍ형태정보
-
점수: 1크기: 24.5 × 17.5접은크기: ×서명:인장종수:보존상태:언어:자료형태:
- ㆍ정의
- ㆍ기타사항
- ㆍ현소장처
- 율곡연구원
- ㆍ지정문화재
- 이름: 분류: 지정년도:
- ㆍ수장고
- 이름: 서가위치: 단위치:
해제
미상년(1842-1843년 사이 추정) 하 제(河弟, 유영하(柳榮河) 추정)가 안부를 주고받고 근황 등을 알리고자 발급한 간찰이다. 발급연월일 은 기재하지 않고 ‘卽’이라고만 하여 상대에게 편지를 받은 당일을 표현하였고, 발급자 정보로 ‘河弟’만 기록하여 성명에 ‘하(河)’가 들어가는 인물이면서 평교간 정도 되는 인물이었음을 알 수 있다. 수신자는 동일 인명의 여타 간찰이 주로 월포(月圃)에 보낸 것으로 확인되므로 심능규(沈能圭, 1790~1862)로 추정된다. 비가 오는 가운데 상대의 편지를 받고 이를 통해 안부가 좋다는 점을 알게 되어 위로된다고 하였다. 자신은 이전 모습대로 지내고 있다고 하였다. 접초(接抄)에 관해서는 상대에게 “편치 못하다[未安]”는 말씀을 받았으니 죄송하다고 하였고, 추수가 풍년이라는 점은 축하드린다고 하였다. 가릉(嘉陵)은 이제 막 보냈으니 일찍 듣지 못한 점이 아쉽다고 하였고, 조보[朝紙]도 부쳐 보내버려 상대의 부탁에 부응하지 못하는 상황임을 알렸다. 본문에서 언급된 ‘접초’는 자세한 용례는 미상이다. 심능규와 관련된 여타 간찰의 내용을 참조하면, 지방 향교 등에 소속된 거접(居接) 유생의 초택복시(抄擇覆試)와 관련된 사안일 수 있다. 만일 맞는다면 당시 발급자는 이를 주관할 수 있는 현임 지방 수령, 특히 지역적으로 ‘강릉부사(江陵府使)’였거나 이러한 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는 전임 수령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강릉부사선생안(江陵府使先生案)』을 살펴보면, 수신자의 활동 시기 안에 강릉부사를 역임한 이력이 있는, 성명에 ‘河’가 들어간 인물로 유영하(柳榮河, 1787~1868)가 있다. 1841년 2월에 강릉부사에 부임하여 이듬해인 1842년 8월에 체직되었으므로, 이 간찰의 발급연도 역시 이 시기 즈음으로 추정 가능하다. 그는 자는 선여(善汝), 호는 보산(甫山), 본관은 고흥(高興)이며 강원도 춘천 출생이다. 1819년(순조19) 식년시 갑과 2위로 문과에 급제하여 병조좌랑‧지평‧정언‧은산현감‧강릉부사‧승지‧안변부사‧대사간‧공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보산집』이 있다. 또한 ‘가릉’의 경우 본문만으로는 역시 자세한 의미는 미상이다. 일반적으로 가릉군(嘉陵郡), 즉 경기도 가평을 이르므로 당시 ‘가평군수(加平郡守)’를 지낸 이력이 있는 어느 인물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승정원일기』를 살펴보면, 1842년과 43년 사이에 가평군수를 지낸 이력이 있는 인물로 권영규(權永圭, 1790~?)가 있다. 그는 1842년 5월 28일 이비정사(吏批政事)에서 가평군수에 제수된 이력이 있고 1844년 5월 공주판관(公州判官)에 제수되기 전까지 해당 관직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본문에서는, ‘가평을 이제 막 떠나보냈는데, 상대가 그를 만나보고 싶다는 부탁을 늦게 들었기에 만남을 성사시키지 못하여 안타깝다’고 하는 상황으로 보이고, 상대가 부탁한 조보 역시 가평이 가는 편으로 부쳐 보내버려서 현재 상대에게 보내줄 수 없다는 의미로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들을 통해 경외의 현관이나 유력자들과 인맥을 형성하려던 관행, 중앙의 민감하고 중요한 정보를 알고자 조보를 주고받는 등 정보유통과 관계망에 관해 그 당시 사람들의 실생활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적 가치가 있다.
- · 『江陵府使先生案』 (국립중앙도서관[古2196-1]) 심능규 저/신상목 역, 『강원 국학자료 국역총서05 월포기』, 율곡연구원, 2023.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수집사료해제집 1편:강릉 창녕조씨 소장자료 목록)
참고자료
원문
拜謝 雨中 承審靜候萬勝 慰仰慰仰 弟狀依昔而已 接抄承此未安之敎 主臣 而秋豊則仰賀 嘉陵今才發送 恨未早聞也 朝紙亦付送 故未副耳 餘 不宣謝禮 卽 河弟 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