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미상년 송단화 간찰(宋端和 簡札)
기본정보
- ㆍ자료ID
- A004_01_A00793_001
- ㆍ입수처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 ㆍ자료유형
- 고문서
- ㆍ유형분류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ㆍ주제분류
- ㆍ문서명
- 미상년 송단화 간찰 / 宋端和 簡札
- ㆍ발급자
-
송단화(宋端和, 1792~?, 조선,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수취자
-
심능규(沈能圭, 1790~1862, 조선,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발급시기
-
간지연도:왕력:추정시기:본문:
- ㆍ형태정보
-
점수: 1크기: 22 × 37접은크기: ×서명:인장종수:보존상태:언어:자료형태:
- ㆍ정의
- ㆍ기타사항
- ㆍ현소장처
- 율곡연구원
- ㆍ지정문화재
- 이름: 분류: 지정년도:
- ㆍ수장고
- 이름: 서가위치: 단위치:
해제
미상년(1852-1854년 사이 추정) 즉일에 제(弟) 송단화(宋端和, 1792~?)가 안부를 주고받고 근황 등을 알리고자 발급한 간찰이다. 발급연월일은 기재하지 않고 ‘卽’이라고만 하여 상대에게 편지를 받은 당일을 표현하였고, 발급자 정보로 ‘弟’를 표기하여 상대와 평교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배면의 ‘東閣謝書’라는 기록을 통해 당시 지방 수령으로 재직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수신자는 본문 내용의 ‘鏡浦半晷之穩’, 배면의 ‘海雲亭 回納’이라는 기록을 통해 월포(月圃) 심능규(沈能圭, 1790~1862)로 추정할 수 있다. 어제 경포(鏡浦)에서 반 시진 가량 만나 정답게 이야기 나눈 일은 지금까지도 그립고 좋았는데 금일에 또 상대의 편지를 받아 체절이 하루 사이에 한결같이 왕성하다는 점을 알게 되어 위로된다고 하였다. 자신은 이전의 모습대로 지내고 있어 딱히 드릴 말씀이 없다고 하였다. 상대가 보내준 벼루[陶泓]는 이 지방의 산물인데 품질이 좋은지 여부를 떠나 매우 감사하다고 하였다. 추록에는, 상대가 보낸 협지의 내용에 관해 당연히 마음에 두고 시행 해 줄 계획이라고 하면서, 다만 공납(公納)을 꾸려 보내야 할 일이 현재의 급선무인지라 날이 밝은 뒤에는 이 업무에 골몰하여 조금의 틈도 없으니 우선은 어떻게 설행해야 할 지 모르겠다고 언급하고 있다. 본문의 내용을 통해 발급자와 수신자는 쉽게 모임을 가지고 며칠 안으로 서찰을 왕래할 수 있었던 짧은 거리에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되고, 상대가 선물로 보낸 벼루가 이 지방의 산물이라고 언급한 것과 동각에서 공납에 관한 업무를 주관하고 있는 모습 등으로 보면 발급자는 강릉부사(江陵府使)에 재직 중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발급자로 기재된 ‘端和’는 ‘송단화’로 추정되는데, 그는 1852년 3월부터 1854년 8월까지 강릉부사를 역임한 이력이 있으므로 이 간찰의 발급연도를 이 사이 즈음으로 추정 가능하다. 본문의 내용을 통해 당시 사인들의 일상생활과 선물을 주고받는 모습, 수령의 실제 업무 수행 모습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송단화는 자는 경보(敬甫), 본관은 은진(恩津), 부친은 송지렴(宋知濂), 아들은 경복궁 만춘전(萬春殿) 현판 글씨로 유명한 송희정(宋熙正, 1824~?)이다. 1813년(순조13) 증광시 생원 3등으로 입격하였고, 음직으로 정릉참봉(貞陵參奉)‧금부도사‧정릉직장(靖陵直長)‧사도시주부‧예안현감‧간성군수‧강릉부사‧활인서별제‧진주목사 등을 역임하였다.
- · 『江陵府使先生案』 (국립중앙도서관[古2196-1]) 심능규 저/신상목 역, 『강원 국학자료 국역총서05 월포기』, 율곡연구원, 2023.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수집사료해제집 1편:강릉 창녕조씨 소장자료 목록)
참고자료
원문
拜謝候上 日昨鏡浦半晷之穩 迨切耿誦 卽又拜審靜體節 日來一例萬旺 區區伏不任慰往叶禱 弟狀印昨 餘無足仰道 惠陶泓 蓋是此方産 而其品好否 姑未的知耳 良感良感 餘留 不備謝 卽 弟 端和 拜 夾片當留意計耳 但公納裝送 一時爲急 日出以後 汨於此政 無少隙閒念時 姑未知何當設行也
海雲亭 回納 東閣謝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