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미상년 임정상 간찰(任鼎常 簡札)
기본정보
- ㆍ자료ID
- A004_01_A00784_001
- ㆍ입수처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 ㆍ자료유형
- 고문서
- ㆍ유형분류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ㆍ주제분류
- ㆍ문서명
- 미상년 임정상 간찰 / 任鼎常 簡札
- ㆍ발급자
-
임정상(任鼎常, 1765~1837, 조선,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수취자
-
심능규(沈能圭, 1790~1862, 조선,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발급시기
-
간지연도:왕력:추정시기:본문:
- ㆍ형태정보
-
점수: 1크기: 27.5 × 33.5접은크기: ×서명:인장종수:보존상태:언어:자료형태:
- ㆍ정의
- ㆍ기타사항
- ㆍ현소장처
- 율곡연구원
- ㆍ지정문화재
- 이름: 분류: 지정년도:
- ㆍ수장고
- 이름: 서가위치: 단위치:
해제
[1831~1833년] 늦여름에 편지를 받고 즉시 강릉부사(江陵府使) [임정상(任鼎常)]이 월포(月圃) [심능규(沈能圭, 1790~1862)]에게 보낸 답장 간찰이다. 주요 내용은 바다 고기잡이에 여러 사람이 모이니, 일찍 방문해 주길 청하는 것이다. 발신자 임정상의 자는 응서(凝叙)이고 본관은 풍천(豊川)이며 1807년 문과급제하고 1831년에 6월 22일에 강릉부사에 임명되었다. 수신자 심능규의 자는 사룡(士龍)이고 호는 월포(月圃)·신천당(信天堂)·천청당(天聽堂)이며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강릉에 살면서 『인경부주(仁經附註)』를 편찬한 인물이다. 조선시대 양반들도 해렵(海獵)과 같은 일에 기이한 경관을 보러 회동하는 모임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강릉(江陵)을 배경으로 바다 낚시하는 토속적인 정취가 상상되는 편지이다.
원문
(背面) 沈碩士宅
北坪淸案
間阻悵仰老炎如蒸兄履衛勝慰溸區區弟公擾益繁無足仰道聞海獵多奇觀故今方往見台津拜罹處而稚仰諸人幷皆同會兄亦賁然至仰至仰必早枉如何如何在奉攦不備卽弟煩逋名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