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미상년 임정상 간찰(任鼎常 簡札)
기본정보
- ㆍ자료ID
- A004_01_A00774_001
- ㆍ입수처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 ㆍ자료유형
- 고문서
- ㆍ유형분류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ㆍ주제분류
- ㆍ문서명
- 미상년 임정상 간찰 / 任鼎常 簡札
- ㆍ발급자
-
임정상(任鼎常, 1765~1837, 조선,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수취자
-
심능규(沈能圭, 1790~1862, 조선,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발급시기
-
간지연도:왕력:추정시기:본문:
- ㆍ형태정보
-
점수: 1크기: 24.5 × 27.5접은크기: ×서명:인장종수:보존상태:언어:자료형태:
- ㆍ정의
- ㆍ기타사항
- ㆍ현소장처
- 율곡연구원
- ㆍ지정문화재
- 이름: 분류: 지정년도:
- ㆍ수장고
- 이름: 서가위치: 단위치:
해제
미상년 임정상(任鼎常, 1765~1837)이 심능규(沈能圭, 1790~1862)에게 보낸 간찰이다. 본 편지에는 별도로 발급자가 명기되어 있지 않으나, 필체가 A00773과 동일하므로, 그 내용에 따라 발급자를 임정상으로 비정하였다. 임정상은 자는 응숙(凝叔), 본관은 풍천(豐川)이다. 1807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좌부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그는 특히 1831년 6월 22일에 67세의 나이로 강릉부사에 임명되었고 1833년 6월 22일에 대사간으로 이임되었다. 본 편지는 임정상이 강릉부사로 재직할 때 작성한 것이다. 수신자는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소장 간찰 가운데 강릉부사가 보낸 다른 편지들을 참고하여 심능규로 판단하였다. 그는 강릉에 거주한 사족이다. 자는 사룡(士龍), 호는 호은(湖隱)ㆍ신천당(信天堂)ㆍ천청당(天聽堂)ㆍ월포(月圃), 본관은 삼척이다. 저서에 월포기(月圃記), 인경부주(仁經附註)가 있다. 이 간찰은 자신의 심경을 토로하고 조보(朝報)를 보내주지 못함을 알리기 위해 보낸 편지이다. 심능규가 부임한 수령과 내적으로도 긴밀히 교유했음을 살필 수 있게 하는 자료이다. 먼저 서두에서는 무과(武科)의 시관(試官)으로 참여하고 복귀하자마자 심능규의 편지가 마침 도착했다고 하였으며, 이를 통해 심능규가 건승함을 알게 되어 아주 위안이 된다고 하였다. 이어 10일 동안이나 병치레를 하였으나 연이어 공적인 행사를 맞아 조섭할 방법이 없는 상황이라며 근황을 전하였다. 또 근래 화창한 시절을 맞아 때때로 화전(花煎)을 부쳐서 시내에 나가 물고기나 잡고 싶지만 혼자 가면 재미가 없고 권하는 사람도 없다고 하면서 자신의 심경을 토로하였다. 관직을 그만두고 돌아가는 것도 쉽지가 않은 일이라고도 하였다. 끝으로 조보는 온 것이 없다고 하였다. 강릉 창녕조씨 소장 간찰의 상당 부분이 심능규 등 삼척심씨 인물과 관련된 것인데, 조옥현 가의 외가가 삼척심씨이므로 어느 시기에 다량의 삼척심씨 소장 문서가 조옥현 가로 옮겨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 최호, 수집사료해제집7, 국사편찬위원회, 2013
참고자료
원문
試武纔歸惠書適至暫慰阻懷第審靜履安勝慰荷何極弟十日委病連値公故調攝無術悶何可言近日和暢時欲煑花獵川獨往無味人無勸起但有歸思此亦未易奈何朝紙本無所來耳不宣卽弟煩逋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