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미상년 아무개 간찰(簡札)
기본정보
- ㆍ자료ID
- A004_01_A00729_001
- ㆍ입수처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 ㆍ자료유형
- 고문서
- ㆍ유형분류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ㆍ주제분류
- ㆍ문서명
- 미상년 아무개 간찰 / 簡札
- ㆍ발급자
-
조선, 개인
원문내용:추정: 발급자를 河弟라고 표기한 이의 간찰이 있다. 문체로 보아 같은 인물의 간찰로 보인다.
- ㆍ수취자
-
심능규(沈能圭, 1790~1862, 조선,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발급시기
-
간지연도:왕력:추정시기:본문:
- ㆍ형태정보
-
점수: 1크기: 23.3 × 26.6접은크기: ×서명:인장종수:보존상태:언어:자료형태:
- ㆍ정의
- ㆍ기타사항
- ㆍ현소장처
- 율곡연구원
- ㆍ지정문화재
- 이름: 분류: 지정년도:
- ㆍ수장고
- 이름: 서가위치: 단위치:
해제
연도미상에 하(河)자의 이름을 사용하는 사람이 월포(月圃) 심능규(沈能圭, 1790~1862)에게 보낸 상대가 언급한 것은 잘 알겠다는 내용의 간찰이다. 편지의 내용은 상대가 서울로 왔다가 돌아가서 잘 지내고 있음을 알아 위안이 된다고 하였다. 발신자 자신은 고을 정사에 서툴러 갈수록 더욱 난감하여 고민이 된다고 전했다. 상대가 언급한 내용은 잘 알겠다고 전하는 것이다. 편지의 내용에 낙패(洛旆)는 서울로 행차를 한 것을 말한다. 즉 심능규가 서울로 행차를 했다가 강릉으로 돌아간 것을 말하는 것이다. 또 정졸(政拙)은 최과정졸(催科政拙)의 의미로써, 최과는 고을수령이 조세(祖稅)의 상납을 독촉하는 것을 말하고, 정졸은 백성에게 조세를 거두는 정사가 부진하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발신자는 당시 지방의 고을수령을 맡으면서 조세를 거두는 일로 고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원문
謹拜謝上卽審洛旆穩稅靜候益護慰仰實愜勞祝弟狀政拙心勞去益難堪苦悶敎意謹悉耳餘不備謝上卽日河弟拜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