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미상년 이조형 간찰(李祖馨 簡札)
기본정보
- ㆍ자료ID
- A004_01_A00636_001
- ㆍ입수처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 ㆍ자료유형
- 고문서
- ㆍ유형분류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ㆍ주제분류
- ㆍ문서명
- 미상년 이조형 간찰 / 李祖馨 簡札
- ㆍ발급자
-
이조형(李祖馨, 1783~?, 조선,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수취자
-
심능규(沈能圭, 1790~1862, 조선,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발급시기
-
간지연도:왕력:추정시기:본문:
- ㆍ형태정보
-
점수: 1크기: 24.8 × 24.3접은크기: ×서명:인장종수:보존상태:언어:자료형태:
- ㆍ정의
- ㆍ기타사항
- ㆍ현소장처
- 율곡연구원
- ㆍ지정문화재
- 이름: 분류: 지정년도:
- ㆍ수장고
- 이름: 서가위치: 단위치:
해제
미상년 편지를 받은 당일, 이조형(李祖馨, 1783~?)이 안부를 주고받고 근황 등을 알리고자 발급한 간찰이다. 발급자는 상대에 대해 자신을 ‘記下’라고 표현하여 평교간이긴 하나 어느 정도 안면만 있던 사이로 추정된다. 또한 자신의 성명을 기재하지 않고 ‘煩無名’이라고 쓰고 있어 정확한 인명을 확인할 수 없지만, 이 문중 소장 여타 간찰 가운데 ‘이조형(李祖馨) 간찰’과 비교하여 서체나 내용이 비슷하고 발급자 관련한 몇몇 투식들이 같은 것으로 보면 발급자를 이조형으로 추정할 수 있다. 수신자는 동일 발급자의 여타 간찰을 참조하면 월포(月圃) 심능규(沈能圭, 1790~1862)로 추정되나 미상이다. 눈 내리는 가운데 홀로 앉아 있다가 상대의 마음이 담긴 편지를 받고 안부를 알게 되어 위로된다고 했다. 자신은 이전대로 녹록하게 지내고 있다고 하고, 오늘 죽서(竹西)의 죽부(竹符)가 이르렀고, 강릉(江陵)의 패소(悖訴)가 두려워 마음이 수란하다고 했다. 자신의 아들은 서울 소식과 함께 오지 않아 들은 것은 없다고 하였다. 월포와 해운정이 여전히 마음속에 있지만 사람의 일이기에 하늘의 음청(陰晴)이 비록 수삼일 간이더라도 어찌 헤아릴 수 있겠냐고 했다. 조보와 재제(齋題)는 잘 받았다고 했다. 이러한 내용들을 통해 수발급자를 중심으로 일어난 그 당시 일들의 단편적인 실례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적 가치가 있다. 발급자 이조형은 자는 경술(景述), 본관은 경주(慶州), 부는 이명한(李命漢)이고 거주지는 여주(驪州)이다. 순조 9년(1809) 대증광시(大增廣試) 병과 30위로 문과에 급제하였고, 승정원승지‧강릉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특히 이 간찰이 해당 문중에 발급된 중요한 경위로 추정되는 관력은 강릉부사 재직이며, 이를 통해 강릉지역 세거 양반들과 교류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강릉부사선생안(江陵府使先生案)』에 따르면 그는 정미년(1847) 10월에 부임하였고, 무신년(1848) 6월에 “관청 건물을 수리하며 비방을 초래했고, 분수에 넘쳐 원망이 이르렀다.[謗招繕廨 讟及濫觴]”고 한 감사의 폄제(貶題)를 받고 파직 되었다고 한다. 당시 읍민의 금전을 거두어 객사를 중수한 일 때문이라고 한다.
- · 『江陵府使先生案』 (국립중앙도서관[古2196-1]) 沈能圭, 『月圃記』 심능규 저/신상목 역, 『강원 국학자료 국역총서05 월포기』, 율곡연구원, 2023.
참고자료
원문
謝上雪中獨坐獲奉心畫仰審體事一例續慰前晤草草記下依舊冗碌而今見竹西竹符之到怕於江陵悖訴方愁亂耳迷豚尙不至幷與京耗而無所聞耳望月湖亭尙在肚裏而人之事故天之陰晴雖數三日間何可仰料耶朝紙齋題依到耳不備卽日記下煩無名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