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1848년 박노 덕복 밭 매매 문기(朴奴 德福 田賣買文記)
기본정보
- ㆍ자료ID
- A004_01_A00459_001
- ㆍ입수처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 ㆍ자료유형
- 고문서
- ㆍ유형분류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ㆍ주제분류
- ㆍ문서명
- 1848년 박노 덕복 밭 매매 문기 / 朴奴 德福 田賣買文記
- ㆍ발급자
-
박노 덕복 상전(朴奴 德福 上典, 조선,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수취자
-
오일중(吳日重, 조선,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발급시기
-
1848년 10월 8일간지연도:왕력:추정시기:본문: 道光貳拾捌年戊申十月初八日
- ㆍ형태정보
-
점수: 1크기: 59.5 × 39.5접은크기: ×서명:인장종수:보존상태: 양호언어:자료형태:
- ㆍ정의
- 朴奴 德福의 명의로 오일중에게 소유 전답을 55냥에 매도한다는 매매명문.
- ㆍ기타사항
- ㆍ현소장처
- 율곡연구원
- ㆍ지정문화재
- 이름: 분류: 지정년도:
- ㆍ수장고
- 이름: 서가위치: 단위치:
해제
도광 28년(무신, 1848) 10월 8일에 종 덕복(德福)의 상전인 박 씨가 오일중(吳日重)에게 55냥을 받고 밭 세 곳을 매도하면서 발급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 덕복의 상전 박 씨는 자기가 매입했던 밭을 종 덕복에게 위임하여 팔게 하였다. 매도하는 밭은 이라곡(伊羅谷, 현 강릉시 교1동)에 있는 상자(霜字) 자호(字號)의 105번과 105분번(分番) 및 105번의 묵혔다 다시 경작[還起]한 곳이다. 밭의 면적은 수확량을 기준으로 각각 2짐·5뭇·6짐 총 8짐 5뭇이고, 파종량을 기준으로 하면 2섬지기이다. 박 씨는 오일중에게 매매가 55냥을 받고 위 밭을 영구히 매도하기로 하였는데, 오일중이 매매가 55냥 중 6냥을 아직 마련하지 못하여 이달 10월 12일에 지급하기로 하였다. 소유권의 증빙문서인 본문기 2장 중 1장은 다른 전답과 노비가 함께 수록되어 있어 넘겨주지 못하고 1장만 넘겨주었다. 문서의 말미에 ‘나중에 허튼소리를 한다면 이 문서로 빙고할 것’이라는 내용의 추탈담보문언을 명기하였으며, 매도당사자인 종 덕복(德福)의 상전 밭주인 박 씨가 문서를 직접 작성하고, 증인으로 송문산(宋文山)이 참여하여 각각 서명하였다. 매매대상에 대해 매도자가 기존에 어떤 경로로 소유하게 되었는지 그 소유내력과 매도자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분재기나 매매명문 등을 ‘본문기(本文記)’ 혹은 ‘구문기(舊文記)’라고 하며, 이와 반대로 현재 거래하면서 작성하는 명문을 ‘신문기(新文記)’라고 한다. 본 명문에서는 ‘본문기’와 ‘구문기’를 구분하여 수록하였는데, ‘본문기’는 상전 박 씨의 상속목록이 적힌 분재기(分財記)이고, ‘구문기’는 박 씨의 피상속자가 위 밭을 매입할 때 딸려온 명문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본 명문에서 언급한 ‘구문기 1장’은 1831년에 유학 윤진하가 유학 권성익에게 매매가 35냥을 받고 발급해 준 ‘A004_01_A00458_001’이다. 또한 본 명문은 1858년에 송문산이 매매가 55냥을 받고 조씨문중에게 발급해 준 ‘A004_01_A00440_001’의 본문기이다.
원문
道光貳拾捌年戊申十月初八日吳日重前明文 右明文事段吾矣上典宅自己買得田伊羅谷霜字百五田貳卜百五分田伍束百五還起田陸負合捌負伍束二石落只庫乙折價錢文伍拾伍兩依數捧上是遣自今爲始永永放賣而本文記段他田民幷付故不得許給舊文記一張許給日後若有雜談則以此文憑考印 田主自筆朴奴德福上典[着名] 證人宋文山[着名] 合結卜八卜五束 價文陸兩姑未備給今月十二日沒數備報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