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 고문서
      • 교령류
        • 공명첩(空名帖)
        • 관고(官誥)
        • 관교(官敎)
        • 관첩(官牒)
        • 교서(敎書)
        • 교첩(敎牒)
        • 백패(白牌)
        • 차첩(差帖)
        • 추증교지(追贈敎旨)
        • 홍패(紅牌)
      • 문기류
        • 가옥문기(家屋文記)
        • 노비문기(奴婢文記)
        • 분재기(分財記)
        • 수목문기(樹木文記)
        • 염장문기(鹽場文記)
        • 자매문기(自賣文記)
        • 토지문기(土地文記)
        • 토지·가옥문기(土地·家屋文記)
        • 토지·가옥·수목문기(土地·家屋·樹木文記)
        • 패지(牌旨)
      • 서간통고류
        • 간찰(簡札)
        • 격문(檄文)
        • 단자(單子)
        • 연길(涓吉)
        • 위답(慰答)
        • 위장(慰狀)
        • 통문(通文)
        • 혼서(婚書)
      • 소차계장류
        • 단자(單子)
        • 등장(等狀)
        • 발괄(白活)
        • 산도(山圖)
        • 상서(上書)
        • 상소(上疏)
        • 상언(上言)
        • 소지(所志)
        • 원정(原情)
        • 의송(議送)
        • 장계(狀啓)
      • 시문류
        • 고유문(告由文)
        • 과문(科文)
        • 기(記)
        • 논(論)
        • 만사·만시(輓詞·輓詩)
        • 묘문(墓文)
        • 비문(碑文)
        • 상량문(上樑文)
        • 서(序)
        • 시(詩)
        • 잡문(雜文)
        • 제문(祭文)
        • 축문(祝文)
        • 행록(行錄)
        • 행장(行狀)
      • 증빙류
        • 다짐(侤音)
        • 뎨김(題音)
        • 등급(謄給)
        • 불망기(不忘記)
        • 수기(手記)
        • 시권(試券)
        • 완문(完文)
        • 완의(完議)
        • 입안(立案)
        • 입의(立議)
        • 입지(立旨)
        • 자문(尺文)
        • 초사(招辭)
        • 호적(戶籍)
      • 첩관통보류
        • 고목(告目)
        • 관문(關文)
        • 망기(望記)
        • 방문(榜文)
        • 보장(報狀)
        • 사통(私通)
        • 서목(書目)
        • 이문(移文)
        • 전령(傳令)
        • 절목(節目)
        • 첩정(牒呈)
        • 통첩(通牒)
        • 품목(稟目)
      • 치부기록류
        • 계문서(稧文書)
        • 계보(系譜)
        • 기일록(忌日錄)
        • 문복록(問卜錄)
        • 문중자료(門中資料)
        • 물목(物目)
        • 방목(榜目)
        • 부의록(賻儀錄)
        • 부조기(扶助記)
        • 분정기(分定記)
        • 사성록(四星錄)
        • 서목(書目)
        • 용하기(用下記)
        • 위문록(慰問錄)
        • 일기(日記)
        • 잡록(雜錄)
        • 전답안(田畓案)
        • 중수기(重修記)
        • 지도·방위도(地圖·方位圖)
        • 진설도(陳設圖)
        • 추수기(秋收記)
        • 치부(置簿)
        • 택기(擇記)
        • 홀기(笏記)
        • 화제(和劑)
    • 고전적
      • 경부
        • 사서류(四書類)
        • 서류(書類)
        • 소학류(小學類)
        • 시류(詩類)
        • 악류(樂類)
        • 역류(易類)
        • 예류(禮類)
        • 총경류(總經類)
        • 춘추류(春秋類)
        • 효경류(孝經類)
      • 사부
        • 계보류(系譜類)
        • 금석류(金石類)
        • 기사본말류(紀事本末類)
        • 별사류(別史類)
        • 사평류(史評類)
        • 사표류(史表類)
        • 서지류(書誌類)
        • 잡사류(雜史類)
        • 전기류(傳記類)
        • 정사류(正史類)
        • 정서류(政書類)
        • 조령주의류(詔令奏議類)
        • 지리류(地理類)
        • 직관류(職官類)
        • 초사류(抄史類)
        • 총사류(總史類)
        • 편년류(編年類)
      • 자부
        • 기타종교류(其他宗敎類)
        • 농가류(農家類)
        • 도가류(道家類)
        • 병가류(兵家類)
        • 보록류(譜錄類)
        • 서학류(西學類)
        • 석가류(釋家類)
        • 술수류(術數類)
        • 역학류(譯學類)
        • 예술류(藝術類)
        • 유가류(儒家類)
        • 유서류(類書類)
        • 의가류(醫家類)
        • 잡가류(雜家類)
        • 정음류(正音類)
        • 천도교류(天道敎類)
        • 천문산법류(天文算法類)
        • 총자류(總子類)
      • 집부
        • 별집류(別集類)
        • 사곡류(詞曲類)
        • 소설류(小說類)
        • 수필류(隨筆類)
        • 시문평류(詩文評類)
        • 잡저류(雜著類)
        • 척독류(尺讀類)
        • 초사류(楚辭類)
        • 총집류(總集類)
    • 유물
      • 글씨
      • 그림
      • 인보·인장
      • 탁본
      • 병풍
      • 기타
    • 근현대문서
      • 서신·통지류
        • 간찰·편지·엽서
        • 관보
        • 광고
        • 부의·부고
        • 위임
        • 위장
        • 인사장
        • 성명서
        • 청첩
        • 초청장
        • 혼서
        • 기타통지문
      • 기록류
        • 계(契)관련문서
        • 신문
        • 연초경작세대장
        • 조문(吊慰)록
        • 지도
        • 회계
        • 기타
      • 증빙류
        • 가축매매
        • 보증서
        • 보험증서
        • 부동산매매·임대차
        • 서약서
        • 이력서
        • 인감증명
        • 영수증
        • 졸업증·수료증
        • 차용증
        • 채권
        • 토지대장
        • 호적류
        • 기타
      • 인사관계
        • 당선
        • 망기
        • 위촉
        • 차정·발령
        • 추천
      • 시문류
        • 기문
        • 시문
        • 제문
        • 상량문
        • 만사
        • 행장
        • 기타
      • 상장·포상
        • 상장
        • 포상
        • 감사장
      • 행정·사법문서
        • 고시(告示)
        • 결정문
        • 명령서
        • 법령
        • 보고서
        • 지시서
        • 화해조서
        • 신청·청원서
        • 수령서(청서)
        • 승인원
        • 신고
        • 인허·허가
        • 증명서·증명원
        • 판결문
        • 훈시·연술
        • 훈령
      • 기타
    • 근현대전적
      • 총류
      • 철학
      • 종교
      • 사회학
      • 자연과학
      • 기술과학
      • 예술
      • 언어
      • 문학
      • 역사
      • 기타
  • 입수처
    • 문중
      • {url:./treeAjax?itemId=&cate=organType&depth=1&upPath=%EB%AC%B8%EC%A4%91&dataId=}
    • 개인
      • {url:./treeAjax?itemId=&cate=organType&depth=1&upPath=%EA%B0%9C%EC%9D%B8&dataId=}
    • 서원향교
      • {url:./treeAjax?itemId=&cate=organType&depth=1&upPath=%EC%84%9C%EC%9B%90%ED%96%A5%EA%B5%90&dataId=}
    • 기관
      • {url:./treeAjax?itemId=&cate=organType&depth=1&upPath=%EA%B8%B0%EA%B4%80&dataId=}
    • 기타
      • {url:./treeAjax?itemId=&cate=organType&depth=1&upPath=%EA%B8%B0%ED%83%80&dataId=}
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1875년 이하응 간찰(李昰應 簡札)

기본정보

ㆍ자료ID
A004_01_A00422_001
ㆍ입수처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ㆍ자료유형
고문서
ㆍ유형분류
서간통고류-간찰(簡札)
ㆍ주제분류
ㆍ문서명
1875년 이하응 간찰 / 李昰應 簡札
ㆍ발급자
이하응(李昰應, 1820~1898, 조선, 개인)
원문내용:
추정:
ㆍ수취자
신좌모(申佐模, 1799~1877, 조선, 개인)
원문내용:
추정:
ㆍ발급시기
1875년 2월 19일
간지연도:
왕력:
추정시기:
본문: 乙亥二月十九日
ㆍ형태정보
점수: 1
크기: 22.5 × 37
접은크기: ×
서명:
인장종수:
보존상태:
언어:
자료형태:
ㆍ정의
ㆍ기타사항
ㆍ현소장처
율곡연구원
ㆍ지정문화재
이름: 분류: 지정년도:
ㆍ수장고
이름: 서가위치: 단위치:

해제

을해년(1875) 2월 19일에 벼슬에서 물러나 양주 직곡에 은거하던 대원군 이하응이 담인澹人 신좌모申佐模에게 자신의 근황을 전하는 안부 간찰이다. 世子의 冊封禮가 거행된 것에 대해 억만년의 영원한 복이라고 하였다. 王世子(훗날 순종)의 冊禮는 1875년(고종 12) 2월 18일에 거행되었다.그러나 이런 성대한 예식을 맞아 위태로운 자신의 처지와 앞에 놓여있는 한계로 인하여 자신이 감히 直谷을 한 발자국도 나갈 수 없는 것에 대해 차마 말하기 어려운 심정이라고 토로하였다. 申佐模의 건강이 늘 편치 못한 것에 대해서도 안타까운 마음을 전하였다. 대원군 자신은 스스로 村學究가 되어 어린 손자를 가르치는 것으로 일상을 삼고 있으며, 때때로 허공에 咄咄怪事만 쓰면서 산중에서의 세월을 잘 보내고 있다고 하였다. 세밑에 지은 聯句의 “難知范老疽何發 可笑周郞氣不堪”이란 구절이 자신의 動靜을 알 수 있게 할 것이라고 하였다. 申佐模가 夾紙에서 언급한 내용에 대해서는 逐條 답변하지는 않는다고 하였다. 대원군의 본 편지는 󰡔澹人集󰡕 卷14 書, 「上答大老書 乙亥元月」에 대한 답장으로 보인다. 다만 문집에는 別紙가 실려 있지는 않다. 이번에 국가적 경사가 있었으나 申佐模가 이미 낙향한 마당에 어찌 다시 도성에 들어올 수 있겠느냐고 하면서, 上京을 통한 만남이 쉽지 않은 것에 대한 아쉬운 마음을 표하였다. 그러나 사람의 만남과 헤어짐은 원래 이러한 법이니 아쉬워하는 자신의 마음은 摩竭宮에 들어 고초를 겪는 자신의 부질없는 생각이라고도 하였다. 용지는 황색지에 25행의 새로 줄이 있고 여백에는 다양한 구름무늬가 정교하게 찍힌 시전을 사용하였다. 특히 상단에는 ‘三樂齋詩箋樂天主人製’라고 새겨놓아 제작처와 제작자를 밝히고 있어 시전詩箋의 연구에 하나의 단서가 될 수도 있다.

    참고자료

  • · (󰡔承政院日記󰡕 高宗 12年 2月 18日)

원문

年後兩椷 幷承於仲春 山家遠慕之際 天佑東邦 日吉辰良 震宮冊封禮成 此爲萬億年無疆之休 如此盛禮 以其踪跡之臲卼 艮限之在前 未敢出山門一步之地 於情實難堪告 此際承審台候 恒諐欠和 遠伏只自憧憧 記下 拜日居鄕 隨分飮啄 情私戀悵 難以毛擧 惟喜穉孫 添齒能學 白首文方 冠褦襶日 以訓孫度日 自作邨學究 有時咄咄書空 而好送山中日月而已 顧此寢啖 何以有人人之言 我豈自損耶 歲前有聯句 難知范老疽何發 可笑周郞氣不堪 此一句 可以知此間動靜矣 夾示之多少說 不必逐條作復 言在不言中 今此慶會 跛躄設爲起之 惟台執一自作詩掛冠之後 豈可復入闤闠耶 從此奉話未易 臨池把筆 意想脉脉 淚在筆前 人事分合 元來如此 無非磨蝎宮閒商量 統希道安 不備 乙亥二月十九日直谷生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