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1874년 이하응 간찰(李昰應 簡札)
기본정보
- ㆍ자료ID
- A004_01_A00412_001
- ㆍ입수처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 ㆍ자료유형
- 고문서
- ㆍ유형분류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ㆍ주제분류
- ㆍ문서명
- 1874년 이하응 간찰 / 李昰應 簡札
- ㆍ발급자
-
이하응(李昰應, 1820~1898, 조선,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수취자
-
신좌모(申佐模, 1799~1877, 조선,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발급시기
-
간지연도:왕력:추정시기:본문: 甲戌九月九日
- ㆍ형태정보
-
점수: 5크기: 22.8 × 14.8접은크기: ×서명:인장종수:보존상태:언어:자료형태:
- ㆍ정의
- ㆍ기타사항
- ㆍ현소장처
- 율곡연구원
- ㆍ지정문화재
- 이름: 분류: 지정년도:
- ㆍ수장고
- 이름: 서가위치: 단위치:
해제
1874년 9월 9일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 1820~1898)이 신좌모(申佐模, 1799~1877)에게 보낸 양주(楊州) 직곡(直谷)에 온 자신의 안부를 전하고, 그 과정에서 지은 시를 보낸다는 간찰이다. 대원군은 먼저 申佐模의 “蕭蕭數騎向南行”이란 시구를 통해 申佐模가 낙향한 것을 파악했다고 하였다. 1874년(고종 11) 가을에 申佐模는 歐美 열강이 조선을 압박하는 상황에서 비분강개하여 장문의 상소를 작성하여 올리려고 하였으나 저지하는 이들이 많아서 그 초고를 태우고 나서 가족들을 데리고 낙향하였다. “甲戌秋, 歐美諸邦要挾強梁, 以其𧗱易我禮義. 公憂憤慷慨, 治䟽數千言, 將上, 尼之者多, 且念時事已去, 歎息吟詩曰: ‘敢擬晦翁占遇遯, 慙無澹老筆當師.’ 遂焚藁, 卽日挈眷歸鄕里.”(申獻求, 澹人集 卷20 附錄, 「墓碑銘」) 금년의 풍작에 대한 다행스러운 마음을 전하였다. 낙향하는 도중 申佐模가 지은 詩句에 대해 공개될 경우 비방의 소지가 있는 부분을 언급하며 수정을 당부하였다. 자신은 도성문을 나가 남쪽으로 가서 南延君 묘소를 성묘하고 나서 加平으로 향하였으나 당시 흥선대원군 집안은 加平에 거주할 곳을 두고 있었던 것 같다. “遣都承旨問安, 大院君府大夫人, 以時在加平.”(李晩燾, 響山日記 甲戌 8月 13日) 그 方位가 자손들에게 不吉하기 때문에 방향을 돌려 楊州 直谷에 머물게 되었다고 하였다. 直谷의 거처는 桂洞 故 李相公이 지은 교외의 별장으로 생활환경이 좋고 서울과 50리 길이라 서울 소식이 매일 전해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하였다. 다만 관직을 수행하는 아들 李載冕이 京鄕을 왕래하는 것에 대해 염려하였다. 날마다 어린 손자들과 놀면서 산책하고 楓林에서 여유롭게 지내는 것을 여생의 낙이자 하늘이 내린 복이라 여긴다고 하였다. 그러면서 자신의 이러한 생활은 뜻 있는 자는 깊이 탄식할 것이고 무정한 자들은 비난하면서 코웃음을 칠 것이라고도 하였다. 直谷에 살게 된 것이 마치 전생에 미리 정해져 있었던 것은 아닐까 하였다. 그동안 자신이 여정에서 지은 몇 수의 시는 자신의 솔직한 이야기를 담은 것으로서 時諱에 얽매이지 않은 것이 많다고 하면서 보관하지 말고 보는 즉시 찢어 버리라 당부하였다. 여기서 언급한 시는 본 편지에 추신 형태로 기재되어 있는데, 「在始興初程轎中 偶吟卽景」, 「自德山回路偶吟」, 「轉入加平偶吟」, 「直谷偶吟」 등 모두 4수이다. 끝으로 三班을 막론하고 南人 인사들이 자신이 떠날 때 모두 와서 작별하였는데 비방이 미칠까 우려되어 한번 보고는 금방 이별했다는 소식을 전해 주었다.
원문
(1)
聞蕭蕭數騎向南行之句已知台駕之南(啓?)意欲修候便人無因苦待申弁之來訪此弁姑不來面時當重陽忽思落帽起糕之意玆修茂椷以待申弁之來此順時未知何日何時相逢付信內函則以重陽塡之外封之日字眞是付禠之日也今年三農占登大有民事可幸此時還山弄月幽趣必多矣江東暮雲從古流恨人事分合何以預知各分天涯靈犀自通恭審楓下
(2)
台座動止頹唐後萬鬯奚囊所儲幾首驚人瓊汁二首自然聞知矣何不審愼而自取雌黃尙憶二字似是懷古此則當日改安誰知二字此時改安甚好第二首艸丁燈前便焚之云云此尤不掛於第二眼句也竝爲三緘之如何記下一辭(却?)門南导鄕路往省先壟仍向加峽以其方作之不利於兒輩轉接於楊州直谷此則桂洞故李相公卜築之郊墅也一身托衣何處不就仍伏定頓今作楊州之民而惟幸柴水極佳距京爲五十里京第消
(3)
息逐日聞知而家兒則許多立朝之地則不可大歸於窮鄕且與鯫生處地有異亦不得見其火炎而往來京鄕此兒情地大是矜悶矜悶亦復於何日與穉孫相戱步園盤桓於楓林自以爲餘生之樂天錫之福大抵我之此計有志者深歎憂恨無情者雌黃鼻笑果是此宴難舞命也奈何餘生之寄命於此地亦豈奇生之定算也又復奈何其間漂泊道路偶吟數首詩此還直腸之說不拘時諱者多幸勿留之覽卽扯之此生此世更無奉話之堦意欲一詩
(4)
相和而如此說去始有不吉之思有志而未遂庶可洞諒此心矣(撤?)管此箋恨實心結只自抑塞而已其間午邊諸益無論三班無人不來別此若數逢亦有雌黃之及身竝以一面旋別當場之心庶幾諒悉矣統希台節隨時福安自靖自重不備朗照甲戌九月九日累生拜
四野汒汒大有秋晩風吹處見膏流西陽邨落淡烟起黃犢渡溪啼毋追右在始興初程轎中偶吟卽景
(5)
▣捨人情不欲聞莫如自靖養天君十年事爲皆逝水一時名利亦浮雲園榭榮華長短異江魚汨沒是非分鄕山何處知吾屋共與邨農好作羣右自德山回路偶吟
輕筇東至背西陽觸石垂藤一路長萬嶂秀聳疑佛首十灘委曲似羊腸孤邨絶市人無俗晩粟成秋峽有香休問此時究竟事株兎與我守山庄右轉入加平偶吟
咄咄書空晝掩扉餘生自樂解朝衣世事休論山外客只看靑嶂白雲歸右直谷偶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