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1875년 이하응 간찰(李昰應 簡札)
기본정보
- ㆍ자료ID
- A004_01_A00401_001
- ㆍ입수처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 ㆍ자료유형
- 고문서
- ㆍ유형분류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ㆍ주제분류
- ㆍ문서명
- 1875년 이하응 간찰 / 李昰應 簡札
- ㆍ발급자
-
이하응(李昰應, 1820~1898, 조선,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수취자
-
신좌모(申佐模, 1799~1877, 조선,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발급시기
-
1875년 10월 25일간지연도:왕력:추정시기: 1874~1876본문: 十月之卄五
- ㆍ형태정보
-
점수: 2크기: 22.8 × 12.5접은크기: ×서명:인장종수:보존상태:언어:자료형태:
- ㆍ정의
- ㆍ기타사항
- ㆍ현소장처
- 율곡연구원
- ㆍ지정문화재
- 이름: 분류: 지정년도:
- ㆍ수장고
- 이름: 서가위치: 단위치:
해제
[1874~1876] 10월 25일에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 1820~1898)이 신좌모(申佐模, 1799~1877)에게 보내는 간찰이다. 주요 내용은 손자에게 천자문을 가르치는 근황을 적어 보내는 것이다. 창녕조씨 명숙공종가(命肅公宗家) 소장 간찰 중 흥선대원군이 신좌모에게 보낸 간찰은 총 45점인데, 1872년에 참판 최익현(崔益鉉)의 상소로 인해서 이 때는 대원군이 경기도 양주(楊州) 직곡(直谷)에 은거하고 있던 시기이다. 신좌모의 자는 좌인(左人), 호는 담인(澹人), 본관은 고령(高靈)이다. 1827년(순조 27) 사마시에 합격하고, 1835년(헌종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그 뒤 원릉별검(元陵別檢)·성균관전적·병조정랑·종부시정 등을 역임하였고, 춘추관편수관이 되어 실록편찬에도 참여하였다. 1849년에는 사헌부집의를 거쳐 사간원사간 등을 지내고, 1855년(철종 6) 진위진향사(進慰進香使)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이조판서에 이르렀다. 저서로는 『담인집(澹人集)』이 있으며, 이 문집에 이하응에게 보낸 편지가 수록되어 있다. 신좌모는 대원군 집권기에 이조참판, 성균관 대사성을 역임할 정도로 대원군에게 신임을 받았던 친대원군계 근기남인으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본 편지에도 대원군과 신좌모와의 친밀한 우호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간찰에 대한 申佐模의 답장(澹人集 卷14 書, 「上答大老書 乙亥十二月)에서는 서두에서 翼宗大王의 世室을 확정하고 翼宗大王에게 尊號를 추상하며 大王大妃殿에 尊號를 加上하는 의례가 거행될 것임을 언급하면서, 질병으로 인해 자신은 비록 賀班에 참석하지 못하나 기쁘기 그지없다고 하였다. 대원군이 편지에서 언급한 태평한 근황에 대해 진실로 만년의 淸福이라고 하면서 기쁜 마음을 표현하였다. 그러나 國事가 무너지고 異樣船이 일으키는 소요가 끝나지 않았으므로, 대원군의 근심이 클 것이라고 하였다. 끝으로 연말 인사를 하였다.
원문
(1)淡人先生文座 小春天氣 梅香渺然 人事蕭瑟 此際脩夐我夢 誰能攪之 朝旭閒牕 硏池墨濃 適逢駿八 玆修茂椷 以報我無事閒養 亦以探頤養體宇 此爲情緣 隨風朶雲 何時入樓 恭惟此際 道體淸鬯 山樓書牕 送日何術 區區遠溯 如水無窮 僕如昨繼繼 敎孫千字 日
(2)以爲常 此是晩年之福 付之滋味 此兒頭角崢嶸 依依膝下 高言太平 而間以日候之不利 嬰感苦苦 自然阻食 鎭日無人 坐加跏趺 爇香啜茶 以送閒暉 他外多少說套 不可以穎泓旣之 萬望益加調將 一奉於春樹暮雲之下 至願畢矣 更希體事福安 不備 十月之卄五雲下生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