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1846년 신석우 간찰(申錫愚 簡札)
기본정보
- ㆍ자료ID
- A004_01_A00174_001
- ㆍ입수처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 ㆍ자료유형
- 고문서
- ㆍ유형분류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ㆍ주제분류
- ㆍ문서명
- 1846년 신석우 간찰 / 申錫愚 簡札
- ㆍ발급자
-
신석우(申錫愚, 1805~1865, 조선,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수취자
-
심능규(沈能圭, 1790~1862, 조선,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발급시기
-
1846년 4월 12일간지연도:왕력:추정시기:본문:
- ㆍ형태정보
-
점수: 1크기: 23.8 × 33접은크기: ×서명:인장종수:보존상태:언어:자료형태:
- ㆍ정의
- ㆍ기타사항
- ㆍ현소장처
- 율곡연구원
- ㆍ지정문화재
- 이름: 분류: 지정년도:
- ㆍ수장고
- 이름: 서가위치: 단위치:
해제
1846년 4월 12일 신석우(申錫愚, 1805~1865)가 심능규(沈能圭, 1790~1862)에게 보낸 인경서(仁經序)를 읽어 보았다는 간찰이다. 편지는 상대가 보내준 편지를 받고 잘 지냄을 알아 위안이 된다고 하였다. 도섬(道剡)은 매우 다행이라고 하였다. 도섬은 도천(道薦)이라고도 하는데, 관찰사가 관할 도내에 있는 사람 중에 학식이 높은 이를 임금에게 추천하는 것을 말한다. 신석우 자신은 완악한 목숨 그대로 보전하고 있다고 하였다. 인경서를 읽어 보았는데 원경휘집(原經彙輯)을 보지 못한 것이 한스럽다고 하였다. 『인경』은 심능규가 중국의 고전에서 인(仁)에 관한 학설을 모으고 주석을 달아 1818년에 간행한 주석서이다. 『인경』은 총 20권 7책으로 필사본이다. 몇 사람에게 이에 대한 서문을 요구한 편지가 몇 편 보인다. 신석우는 본관이 평산(平山), 자는 성여(聖汝)·성여(聖如), 호는 해장(海藏)·이당(頤堂)·맹원(孟園)·난인(蘭人) 등이다. 1834년(순조 34)에 문과에 급제한 뒤 형조판서와 예조판서에 올랐고, 1860년(철종 11)에 동지 정사(冬至正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문집 『해장집(海藏集)』이 있다. 『해장집(海藏集)』에 1845년에 신석우가 직접 지은 「자묘표(自墓表)」를 보면, 부친은 자신이 11살인 1815에 사망하였다고 하고, 1844년 우승지를 역임하던 7월에 모친이 사망하였다고 적고 있다. 그러므로 당시 모친상 중에 있었던 것이다.
원문
稽顙闕然音候悵恨政深卽拜惠問謹審間來文體護重仰慰仰慰道剡適報曷勝慰幸罪記下頑命尙延寃慕益深也仁經序讀之而恨不見原經彙輯耳望紙所示示屬閒高盖其鈴畫畫歸他人故也眼昏神眩荒草不次丙午四月十二日罪記下申錫愚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