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미상년 이원조 간찰(李源祚 簡札)
기본정보
- ㆍ자료ID
- A004_01_A00160_001
- ㆍ입수처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 ㆍ자료유형
- 고문서
- ㆍ유형분류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ㆍ주제분류
- ㆍ문서명
- 미상년 이원조 간찰 / 李源祚 簡札
- ㆍ발급자
-
이원조(李源祚, 1792~1871, 조선,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수취자
-
심능규(沈能圭, 1790~1862, 조선,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발급시기
-
간지연도:왕력:추정시기: 1840년본문:
- ㆍ형태정보
-
점수: 1크기: 26.5 × 51.5접은크기: ×서명:인장종수:보존상태:언어:자료형태:
- ㆍ정의
- ㆍ기타사항
- ㆍ현소장처
- 율곡연구원
- ㆍ지정문화재
- 이름: 분류: 지정년도:
- ㆍ수장고
- 이름: 서가위치: 단위치:
해제
미상년(1840년 추정) 즉일에 이원조(李源祚, 1792~1871)가 안부를 주고받고 근황 등을 알리고자 발급한 간찰이다. 발급자는 상대에 대해 자신을 ‘記下’라고 표현하여 평교간이긴 하나 어느 정도 안면만 있던 사이로 추정된다. 또한 동일 발급자의 여타 서간을 통해 수신자는 월포(月圃) 심능규(沈能圭, 1790~1862)로 추정된다. 즉일에 상대의 편지를 받아서, 이를 통해 점차 더워지는 날씨 속에 고요히 기거하는 생활이 좋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고 했다. 얼마 전 생겼던 일은 경박한 풍속이 고민되지만 실로 응어리 삼기엔 부족한 일이라고 하였다. 또한 돌을 던진[投石] 일에 대해서도 이는 가르치지 않은 패악함에서 나온 일이기에, 자제들을 다스리지 않음으로 다스려 부디 경거망동하는 추열한 풍속에 대해 경계를 보여주자며, 향리의 노숙한 여러분들에게 바람이 없을 수 없다고 했다. 자신은 묵은 여독이 고통스러운데다 갈수록 일이 생겨 편안히 조섭할 틈도 없다고 했다. 용서 없는 법을 써서 자질(子姪)들을 모레 상간에 출송할 것이라 하며, 한 집안도 지키지 못한 자신을 돌아보면 우습기도 하고 탄식하기도 한다고 했다. 끝으로, 조보(朝報) 3봉(封)을 빌려 보내고, 상대의 원고도 온전히 돌려드린다고 했다. 본문에 언급된 투석 등의 일은 추정컨대 발급자의 자제들과 상대가 거주한 향촌 내의 동년배들끼리 다툼이 발생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향촌 자제들은 상대와 같은 향리 내 노숙제공들이 불치치지의 방식으로 신칙 해 주기를 독려하고, 자신의 자질들은 일체지법을 쓰겠다고 한 것으로 보인다. 발신자는 당시 강릉지역에 거주했을 것이므로 이 간찰은 그가 강릉부사에 재직 당시인 1840년에 발급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상대에게 빌려 본 원고[貴稿]는 <(1849년 추정) 윤월(윤 4월) 24일에 이조형(李祖馨)이 심능규에게 보낸 간찰>에서도 언급된 심능규의 저서 『인경』(1849년 간행)의 초고본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내용들을 통해 향촌 내에서 벌어진 소소한 사건, 조보 및 원고를 주고받던 당시의 실제 모습 등을 단편적으로 볼 수 있는 자료적 가치가 있다. 발급자 이원조는 자는 주현(周賢), 호는 응와(凝窩), 본관은 성산(星山), 부는 이규진(李奎鎭), 생부는 이형진(李亨鎭)이다. 순조 9년(1809)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제주목사‧경주부윤‧공조판서 등을 역임했다. 또한 그는 강릉부사도 지냈는데, 『강릉부사선생안(江陵府使先生案)』에 따르면 1840년 4월에 부임하여 1841년 1월에 제주목사에 제수되어 체개되었다. 강릉부사를 역임한 이력을 통해 강릉지역 세거 양반들과 교류가 있었을 것이므로 이 간찰의 수신자와의 관계가 유추된다. 시호는 정헌(定憲)이다. 저서로는 『응와집』이 있다.
- · 『江陵府使先生案』 (국립중앙도서관[古2196-1]) 『國朝榜目』 卷9 (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貴11655] p.43) 李源祚, 『凝窩集』 심능규 저/신상목 역, 『강원 국학자료 국역총서05 월포기』, 율곡연구원, 2023.
참고자료
원문
拜謝上卽拜惠牘稍慰日前未穩餘悵矧惟漸熱靜履動止一衛向日事薄俗可悶而實不足芥滯至於投石之擧亦應出於不敎之悖子弟果以不治治之幸相示詔飭變此輕儇麤劣之風不能無望於鄕里老宿諸公也未知如何如何記下宿憊更苦而去去糾紛無安意調將之隙不得已先從家累而用一切之法子侄輩將以明明間出送一室不得相守自顧皃樣良是笑歎朝紙三封借呈貴稿亦幷還完姑不宣謝禮卽回記下源祚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