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1859년 조서년 시문(趙徐年 詩文)
기본정보
- ㆍ자료ID
- A004_01_A00071_001
- ㆍ입수처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 ㆍ자료유형
- 고문서
- ㆍ유형분류
- 시문류-시문
- ㆍ주제분류
- ㆍ문서명
- 1859년 조서년 시문 / 趙徐年 詩文
- ㆍ발급자
-
조서년(趙徐年, 1812~,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수취자
-
심능규(沈能圭, 1790~1862,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발급시기
-
간지연도:왕력:추정시기:본문:
- ㆍ형태정보
-
점수: 1크기: 37 × 52.5접은크기: ×서명:인장종수:보존상태:언어:자료형태:
- ㆍ정의
- 沈 上舍 放猿韻으로 昏, 掀, 痕, 猿을 운자로 지은 次韻 和詩.
- ㆍ기타사항
- ㆍ현소장처
- 율곡연구원
- ㆍ지정문화재
- 이름: 분류: 지정년도:
- ㆍ수장고
- 이름: 서가위치: 단위치:
해제
해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원문 / 국역
謹和沈上舍放猿韻
快路雲亭進士村
來時非復近黃昏
砌花飾喜樽前笑
湖柳知榮馬首掀
白髮偏蒙今日澤
靑袍更帶少年痕
功名已了還無事
醉步東山伴鶴猿
심상사1)의 원(猿)자 운2)에 따라 삼가 화답하다
진사촌의 운정3)으로 이어진 길 유쾌하여
돌아올 땐 황혼 무렵 완연하게 다르구나
뜨락 꽃도 음악4) 속에 술잔 앞에 환히 웃고
호수가 버들 영광 알아 말머리서 가지 흔드네
백발에도 뜻밖으로 오늘 은택 입었으니
청포5) 입어 다시금 소년 흔적 둘렀구나
이미 공명 이루어서 도리어 할 일 없기에
동산에서 취한 걸음 학과 원숭이6) 짝한다오
조서년7)이 절하고 글을 올립니다[趙徐年拜稿]
1) 심상사(沈上舍) : 심능규(沈能圭 1790~1862)의 호이다. 심능규의 자는 사룡(士龍)이고 호는 월포(月圃)이외에도 신천당(信天堂)·천청당(天聽堂)을 사용하였으며 본관은 삼척(三陟)으로 강릉에 살면서 『인경(仁經)』를 편찬하였다. 심능규는 1859년 증광시(增廣試) 진사시(進士試)에 70세의 늦은 나이로 급제하였다. 문집으로 『월포기(月圃記)』가 있다. 이 시는 심능규가 1859년 진사시에 합격한 것을 축하하는 작품이다.
2) 원(猿)자 운 :원(猿)자 운은 상평성 원(元)자 운에 속한다.
3) 운정(雲亭) : 심능규의 저택인 해운정(海雲亭)을 말하는 듯하다. 해운정은 심언광(沈彦光, 1487~1540)이 강원도 관찰사 시절 건립한 것이다.
4) 음악 : 원문의 ‘식희(飾喜)’는 음악을 가리킨다. 『예기(禮記)』 「악기(樂記)」의 “음악은 선왕이 기쁨을 드러내는 방법이었으며, 군대와 부월은 선왕이 노여움을 드러내는 방법이었다.[夫樂者 先王之所以飾喜也 軍旅鈇鉞者 先王所以飾怒也]”라는 말에서 유래한 것이다.
5) 청포(靑袍) : 아직 관직을 받지 않은 과거 급제자의 복색이다.
6) 학과 원숭이 : 사관(謝觀)의 〈청부(淸賦)〉에 “요대(瑤臺)에 서리 가득한데 현학(玄鶴)의 울음소리 하늘에서 들리고, 파협의 늦가을 오경 밤에 원숭이 구슬픈 소리 달빛 속에 부르짖는다.”라고 하였다. 이 시에서 학과 원숭이는 은자의 삶을 비유한 것이므로, 심능규가 은자의 삶을 사는 것을 학과 원숭이와 짝한다고 표현한 것이다.
7) 조서년(趙徐年) : 풍양(豐壤) 조씨로 강릉에 거주하였다. 『사마방목』에 의하면, 1812년에 태어나 1850년 39세의 나이로 진사시에 급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