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미상년 이희서 간찰(李羲書 簡札)
기본정보
- ㆍ자료ID
- A004_01_A00009_001
- ㆍ입수처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 ㆍ자료유형
- 고문서
- ㆍ유형분류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ㆍ주제분류
- ㆍ문서명
- 미상년 이희서 간찰 / 李羲書 簡札
- ㆍ발급자
-
이희서(李羲書, 1785~?, 조선)
원문내용: 記下羲書拜추정:
- ㆍ수취자
-
심능규(沈能圭, 1790~1862)
원문내용:추정:
- ㆍ발급시기
-
간지연도:왕력:추정시기:본문:
- ㆍ형태정보
-
점수: 1크기: 29 × 49접은크기: ×서명:인장종수:보존상태:언어:자료형태:
- ㆍ정의
- 새해를 객관에서 맞으며, 아이들이 색동옷을 입은 모습을 보면서 한살을 더 먹는 소회를 전하는 편지
- ㆍ기타사항
- ㆍ현소장처
- 율곡연구원
- ㆍ지정문화재
- 이름: 분류: 지정년도:
- ㆍ수장고
- 이름: 서가위치: 단위치:
해제
미상년 이희서(李羲書, 1785~?)가 심능규(沈能圭, 1790~1862)에게 보낸 간찰이다. 이희서는 강릉부사를 역임한 인물이다. 자는 낙여(洛汝), 본관은 한산(韓山)이다. 1849년 12월 26일에 강릉부사에 임명되었고 1851년 12월에 파직되었다. 심능규는 강릉에 거주한 사족이다. 자는 사룡(士龍), 호는 호은(湖隱)⋅신천당(信天堂)⋅천청당(天聽堂)⋅월포(月圃), 본관은 삼척(三陟)이다. 1859년에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저서에 월포기(月圃記), 인경부주(仁經附註)가 있다. 이 간찰은 지방관이 그 관할 재지 사족에게 보낸 것인데, 서로 일상의 근황과 내면의 정서를 긴밀히 교환하고 소통한 일면을 살필 수 있게 한다. 강릉 창녕조씨 소장 간찰의 대부분이 심능규 등 삼척심씨 인물들에게 보내진 것인데, 조옥현 가의 외가가 삼척심씨이므로 어느 시기에 다량의 삼척심씨 소장 문서가 조옥현 가로 옮겨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먼저 새해가 되고 입춘도 지나 완연히 온화한 봄기운이 퍼지고 있고 구정(毬庭)에도 사람이 없는 때를 맞으니 심능규를 그리워하는 마음이 간절하였다고 하였다. 이때 심능규의 편지를 받고 심능규가 새해를 맞아 평안하다는 것을 알게 되니 위안이 되고 경하하는 마음 가눌 수 없다고 하였다. 자신은 비록 오두미(五斗米)에 매여 어쩔 수 없이 벼슬하고 있으나 또 이렇게 객관에서 새해를 맞이하고 보니 감회는 고사하고 병세만 깊어지고 있다고 하였다. 다만 아이들이 색동옷을 입고 춤추는 날을 손꼽아 기다리면서 스스로 나이 먹은 것을 자랑하는 것이 새해의 재미가 될 만하고 문득 자신이 자초한 관직 생활의 괴로움을 잊게 할 따름이라고 하였다. 이는 임지에 따라온 자제들이 이희서의 생일잔치를 준비하는 정황을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최호, 수집사료해제집7, 국사편찬위원회, 2013
원문
歲鑰載新立春又過宛有布和之意兼値毬庭閴若無人此時懷想惟在伊人卽拜審靜候膺新萬休實愜勞祝曷任慰賀記下雖曰斗米所縻又此客館逢新感懷姑捨病情益痼自憐奈何惟以少兒輩舞彩屈指自夸添齒是足爲新歲之况頓忘滄浪之苦耳餘在奉敍不備謝卽回記下羲書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