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1840년 이능연 간찰(李能淵 簡札)
기본정보
- ㆍ자료ID
- A004_01_A00007_001
- ㆍ입수처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 ㆍ자료유형
- 고문서
- ㆍ유형분류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ㆍ주제분류
- ㆍ문서명
- 1840년 이능연 간찰 / 李能淵 簡札
- ㆍ발급자
-
이능연(李能淵, 1782~1847, 조선)
원문내용: 記末能淵拜추정:
- ㆍ수취자
-
심능규(沈能圭, 1790~1862, 조선)
원문내용:추정:
- ㆍ발급시기
-
1840년간지연도:왕력:추정시기:본문:
- ㆍ형태정보
-
점수: 1크기: 28.5 × 34접은크기: ×서명:인장종수:보존상태:언어:자료형태:
- ㆍ정의
- ㆍ기타사항
- ㆍ현소장처
- 율곡연구원
- ㆍ지정문화재
- 이름: 분류: 지정년도:
- ㆍ수장고
- 이름: 서가위치: 단위치:
해제
1840년 강릉부사 이능연(李能淵, 1782~1847)이 심능규(沈能圭, 1790~1862)에게 보낸 간찰이다. 이능연은 자는 사문(士問),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그는 1839년 6월 6일에 강릉부사에 임명되었고 1840년 3월 4일에 신병으로 파출되었다. 심능규는 강릉에 거주한 사족이다. 자는 사룡(士龍), 호는 호은(湖隱)⋅신천당(信天堂)⋅천청당(天聽堂)⋅월포(月圃), 본관은 삼척(三陟)이다. 1859년에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저서에 월포기(月圃記), 인경부주(仁經附註)가 있다. 이 간찰은 지방관이 그 관할 재지 사족에게 보낸 것인데, 지방관이 조정의 인사이동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거나 청탁받은 일의 조치 계획을 알려 주기 위해 작성한 것이다. 강릉 창녕조씨 소장 간찰의 대부분이 심능규 등 삼척심씨 인물들에게 보내진 것인데, 조옥현 가의 외가가 삼척심씨이므로 어느 시기에 다량의 삼척심씨 소장 문서가 조옥현 가로 옮겨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먼저 일전에 정답게 마음을 터놓고 대화한 일이 아직까지 마음에 잊히지 않았는데 심능규가 보내준 편지를 받으니 자리를 함께한 듯 기뻤다고 하였다. 또 심능규가 신명의 가호로 평안하다는 것을 알게 되어 매우 위안이 되었다고 하였다. 이능연은 여전한데 행장을 꾸리느라 한창 정신이 없어 근심스럽게 날을 보내고 있다고 하였다. 정목(政目)은 도착한 뒤에 보내겠다고 하면서 조금만 더 기다려 달라고 하였다. 이 정목과 관련해서는 A004_01_A00005_001에도 같은 내용이 나오는데, 이 간찰이 그보다 뒤에 작성된 것으로 보여 작성 연도를 1840년으로 추정하였다. 또 심능규가 부탁한 심길조(沈吉祖, 1812~1860)와 관련된 일은 길조가 정소(呈訴)하면 결정하여 처리할 계획임을 알렸다.
최호, 수집사료해제집7, 국사편찬위원회, 2013
원문
日前穩攄尙爾熲熲卽拜惠書欣若合席從審靜候動止神護衛重何等仰慰幸幸記末一如昨狀而束裝方擾愁惱度日自悶奈何政目尙爾下來而來後當送呈矣少竢之如何所托吉祖事待其呈訴當決處計耳餘在續候不備謝禮卽回記末能淵拜
月圃靜座回納
新民堂謝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