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1853년도 이종황 교첩(李宗潢 敎牒)
기본정보
- ㆍ자료ID
- A003_01_A01073_001
- ㆍ입수처
- 전주이씨 선교장
- ㆍ자료유형
- 고문서
- ㆍ유형분류
- 교령류-교첩(敎牒)
- ㆍ주제분류
- ㆍ문서명
- 1853년도 이종황 교첩 / 李宗潢 敎牒
- ㆍ발급자
-
철종(哲宗)
원문내용:추정:
- ㆍ수취자
-
이종황(李宗潢, 1830~1909)
원문내용:추정:
- ㆍ발급시기
-
1853년 12월간지연도:왕력:추정시기:본문: 咸豊三年十二月
- ㆍ형태정보
-
점수: 1크기: 54.7 × 74.1접은크기: ×서명:인장종수:보존상태:언어:자료형태:
- ㆍ정의
- 철종(哲宗) 20년(1853) 10월 9일에 통선랑 이종황(通善郞 李宗潢)을 통덕랑(通德郞)으로 임명하면서 내린 교첩(敎牒)
- ㆍ기타사항
- ㆍ현소장처
- 율곡연구원
- ㆍ지정문화재
- 이름: 분류: 지정년도:
해제
이 문서는 1853년(咸豐3년) 10월 9일에 이조(吏曹)에서 철종(哲宗)의 재가를 받아 통선랑 이종황(通善郞 李宗潢)을 통덕랑(通德郞)으로 임명하면서 내린 교첩(교牒)이다. 이종황(李宗潢, 1830~1909)은 초명은 종황(宗潢)이고, 나중에 이회원으로 이름을 바꾼다. 1844년(헌종10) 생원에 입격하여 1883년(고종 20)에 음사(蔭仕)로 순창원(順昌園) 수봉관(守奉官)이 되었다. 1887년에 공조좌랑으로 옮기고, 1894년에 도정(都正)으로 승진하여 동부승지에 제수되었다. 1894년 강릉부사에 임명되었고, 10월 22일에는 관동소모사(關東召募使)를 겸하였다. 1894년 강릉대도호부사 겸 관동소모사(關東召募使)에 부임하여 동학농민군을 토평(討平)하고 이듬해 사직하였다.
통선랑(通善郞)은 조선 시대 정오품 하(下) 문관의 품계로 통덕랑의 아래이다. 통덕랑(通德郞)은 조선시대 품계 가운데 정5품 상계(上階)의 명칭이다. 좌측에 작은 글씨로 아버지 통훈대부 행 청안현감인 이봉구 대신에 특별히 받았다(대가제도)고 적혀 있다. 대가(代加)제도는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현직에 있는 신하들의 품계를 올려 주었는데, 본인의 품계가 진급 한계선(정3품 당하관 최고 품계)에 있으면 자식, 조카, 사위 등에게 대신 품계를 줄 수 있었다. 맨 좌측엔 작은 글씨로, 이 교첩에 관련된 판서 신 김 서압(行判書 臣 金 署押) 참판(參判) 참의(參議) 정랑(正郎) 좌랑(佐郞)이라고 적혀 있다.
A003_01_A01073_001_002
이 문서는 이조 단골서리(吏曹 丹骨書吏) 오준동(吳準東)이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원문
원문이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