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기본정보
- ㆍ자료ID
- A003_01_A00661_001
- ㆍ입수처
- 전주이씨 선교장
- ㆍ자료유형
- 고문서
- ㆍ유형분류
- 문기류-산지문기(山地文記)
- ㆍ주제분류
- ㆍ문서명
- 1894년 심노 응만 솔밭 매매 문기 / 沈奴 應萬 松田賣買文記
- ㆍ발급자
-
심노 응만(沈奴 應萬)
원문내용:추정:
- ㆍ수취자
-
이노 신득(李奴 辛得)
원문내용:추정:
- ㆍ발급시기
-
1894년 12월 27일간지연도:왕력:추정시기:본문: 光緖二十年甲午十二月二十七日
- ㆍ형태정보
-
점수: 1크기: 67.5 × 43.5접은크기: ×서명:인장종수:보존상태:언어:자료형태:
- ㆍ정의
- 1894년(고종 31) 12월 27일에 솔밭 주인인 심 씨(沈氏)의 종 응만(應萬)이 120냥을 받고 이 좌랑댁의 종 신득(辛得)에게 솔밭을 매도하면서 발급해 준 산지매매문기
- ㆍ기타사항
- ㆍ현소장처
- 율곡연구원
- ㆍ지정문화재
- 이름: 분류: 지정년도:
해제
1894년(고종 31) 12월 27일에 솔밭 주인인 심 씨(沈氏)의 종 응만(應萬)이 120냥을 받고 이 좌랑댁의 종 신득(辛得)에게 솔밭을 매도하면서 발급해 준 산지매매문기로, 이 좌랑은 1887년에 공조좌랑을 지낸 선교장의 이회원(李會源, 1830~1909)을 가리킨다. 이회원의 초명은 종황(宗潢)이며, 용구(龍九, 1798~1837)의 차남이자 회숙(會淑, 1823~1876)의 동생으로 숙부인 의범(宜凡, 1802~1868)의 양자이다. 1844년(헌종 10)에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며, 1883년(고종 20)에 순창원(順昌園) 수봉관(守奉官)을 시작으로 금부도사를 지낸 뒤 1887년에 사헌부 감찰과 공조좌랑에 제수되었다. 이후 사옹원 판관·사직령·상서원 별제·돈녕부 도정 등을 거쳐 1894년에 동부승지(同副承旨)에 올랐으며, 1894년에 강릉부사겸 관동소모사(關東召募使)에 제수되어 동학농민혁명군을 진압하였다. 저술로 동학농민혁명군의 진압과정을 담은 『동비토론(東匪討論)』이 있다. 이 문기에서 언급하고 있는 ‘본문기 1장’은 1893년 8월 17일에 심 교관댁의 종 경립이 100냥을 받고 심 씨의 종 응만에게 솔밭을 매도하면서 발급해 준 ‘A003_01_A00662_001’이다.
응만의 상전인 심 씨는 긴요하게 쓸 곳이 있어서 1893년에 100냥을 주고 심 교관댁에서 매입했던 솔밭을 자신의 종인 응만에게 매도행위를 위임하여 팔게 하였다. 매도하는 솔밭은 증산(甑山)에 있으며, 이 솔밭의 사표(四標)는 동쪽으로는 길이 있고 남쪽과 북쪽에는 심 씨의 종 수만(守萬)의 솔밭이 위치하고 있다. 응만은 위 솔밭의 매매가로 120냥을 받고 솔밭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본문기 1장과 함께 이 좌랑댁에 영구히 매도하였다. 문서 말미에 ‘나중에 서로간에 (허튼소리를 한다면) 이 신문기로 빙고할 것’이라는 내용의 추탈담보문언을 명기하고, 매도당사자인 응만과 함께 이 거래의 증인으로 참여한 이 씨의 종 완득(完得)이 각각 좌촌으로 서명하였다.
- · 『승정원일기』 허원영, 「조선후기 강릉 선교장의 지주경영 연구」, 인문과학연구 61집, 2019. 차정섭, 「강릉 선교장의 형성과 발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39호, 2018.
참고자료
원문
光緖二十年甲午十二月二十七日 李佐郞宅奴辛得前明文 右明文事段 矣上典宅以要用所致 買得松田 伏在於甑山 東路南北沈奴守萬松田 四標分明庫乙 折價錢文壹佰貳拾兩 依數捧上是遣 自今爲始 永永放賣 而本文記一張 幷爲許給爲去乎 日後彼此間 以此新文記憑考事 松田主沈奴應萬[同人左寸] 證人李奴完得[同人左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