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 고문서
      • 교령류
        • 공명첩(空名帖)
        • 관고(官誥)
        • 관교(官敎)
        • 관첩(官牒)
        • 교서(敎書)
        • 교첩(敎牒)
        • 백패(白牌)
        • 차첩(差帖)
        • 추증교지(追贈敎旨)
        • 홍패(紅牌)
      • 문기류
        • 가옥문기(家屋文記)
        • 노비문기(奴婢文記)
        • 분재기(分財記)
        • 수목문기(樹木文記)
        • 염장문기(鹽場文記)
        • 자매문기(自賣文記)
        • 토지문기(土地文記)
        • 토지·가옥문기(土地·家屋文記)
        • 토지·가옥·수목문기(土地·家屋·樹木文記)
        • 패지(牌旨)
      • 서간통고류
        • 간찰(簡札)
        • 격문(檄文)
        • 단자(單子)
        • 연길(涓吉)
        • 위답(慰答)
        • 위장(慰狀)
        • 통문(通文)
        • 혼서(婚書)
      • 소차계장류
        • 단자(單子)
        • 등장(等狀)
        • 발괄(白活)
        • 산도(山圖)
        • 상서(上書)
        • 상소(上疏)
        • 상언(上言)
        • 소지(所志)
        • 원정(原情)
        • 의송(議送)
        • 장계(狀啓)
      • 시문류
        • 고유문(告由文)
        • 과문(科文)
        • 기(記)
        • 논(論)
        • 만사·만시(輓詞·輓詩)
        • 묘문(墓文)
        • 비문(碑文)
        • 상량문(上樑文)
        • 서(序)
        • 시(詩)
        • 잡문(雜文)
        • 제문(祭文)
        • 축문(祝文)
        • 행록(行錄)
        • 행장(行狀)
      • 증빙류
        • 다짐(侤音)
        • 뎨김(題音)
        • 등급(謄給)
        • 불망기(不忘記)
        • 수기(手記)
        • 시권(試券)
        • 완문(完文)
        • 완의(完議)
        • 입안(立案)
        • 입의(立議)
        • 입지(立旨)
        • 자문(尺文)
        • 초사(招辭)
        • 호적(戶籍)
      • 첩관통보류
        • 고목(告目)
        • 관문(關文)
        • 망기(望記)
        • 방문(榜文)
        • 보장(報狀)
        • 사통(私通)
        • 서목(書目)
        • 이문(移文)
        • 전령(傳令)
        • 절목(節目)
        • 첩정(牒呈)
        • 통첩(通牒)
        • 품목(稟目)
      • 치부기록류
        • 계문서(稧文書)
        • 계보(系譜)
        • 기일록(忌日錄)
        • 문복록(問卜錄)
        • 문중자료(門中資料)
        • 물목(物目)
        • 방목(榜目)
        • 부의록(賻儀錄)
        • 부조기(扶助記)
        • 분정기(分定記)
        • 사성록(四星錄)
        • 서목(書目)
        • 용하기(用下記)
        • 위문록(慰問錄)
        • 일기(日記)
        • 잡록(雜錄)
        • 전답안(田畓案)
        • 중수기(重修記)
        • 지도·방위도(地圖·方位圖)
        • 진설도(陳設圖)
        • 추수기(秋收記)
        • 치부(置簿)
        • 택기(擇記)
        • 홀기(笏記)
        • 화제(和劑)
    • 고전적
      • 경부
        • 사서류(四書類)
        • 서류(書類)
        • 소학류(小學類)
        • 시류(詩類)
        • 악류(樂類)
        • 역류(易類)
        • 예류(禮類)
        • 총경류(總經類)
        • 춘추류(春秋類)
        • 효경류(孝經類)
      • 사부
        • 계보류(系譜類)
        • 금석류(金石類)
        • 기사본말류(紀事本末類)
        • 별사류(別史類)
        • 사평류(史評類)
        • 사표류(史表類)
        • 서지류(書誌類)
        • 잡사류(雜史類)
        • 전기류(傳記類)
        • 정사류(正史類)
        • 정서류(政書類)
        • 조령주의류(詔令奏議類)
        • 지리류(地理類)
        • 직관류(職官類)
        • 초사류(抄史類)
        • 총사류(總史類)
        • 편년류(編年類)
      • 자부
        • 기타종교류(其他宗敎類)
        • 농가류(農家類)
        • 도가류(道家類)
        • 병가류(兵家類)
        • 보록류(譜錄類)
        • 서학류(西學類)
        • 석가류(釋家類)
        • 술수류(術數類)
        • 역학류(譯學類)
        • 예술류(藝術類)
        • 유가류(儒家類)
        • 유서류(類書類)
        • 의가류(醫家類)
        • 잡가류(雜家類)
        • 정음류(正音類)
        • 천도교류(天道敎類)
        • 천문산법류(天文算法類)
        • 총자류(總子類)
      • 집부
        • 별집류(別集類)
        • 사곡류(詞曲類)
        • 소설류(小說類)
        • 수필류(隨筆類)
        • 시문평류(詩文評類)
        • 잡저류(雜著類)
        • 척독류(尺讀類)
        • 초사류(楚辭類)
        • 총집류(總集類)
    • 유물
      • 글씨
      • 그림
      • 인보·인장
      • 탁본
      • 병풍
      • 기타
    • 근현대문서
      • 서신·통지류
        • 간찰·편지·엽서
        • 관보
        • 광고
        • 부의·부고
        • 위임
        • 위장
        • 인사장
        • 성명서
        • 청첩
        • 초청장
        • 혼서
        • 기타통지문
      • 기록류
        • 계(契)관련문서
        • 신문
        • 연초경작세대장
        • 조문(吊慰)록
        • 지도
        • 회계
        • 기타
      • 증빙류
        • 가축매매
        • 보증서
        • 보험증서
        • 부동산매매·임대차
        • 서약서
        • 이력서
        • 인감증명
        • 영수증
        • 졸업증·수료증
        • 차용증
        • 채권
        • 토지대장
        • 호적류
        • 기타
      • 인사관계
        • 당선
        • 망기
        • 위촉
        • 차정·발령
        • 추천
      • 시문류
        • 기문
        • 시문
        • 제문
        • 상량문
        • 만사
        • 행장
        • 기타
      • 상장·포상
        • 상장
        • 포상
        • 감사장
      • 행정·사법문서
        • 고시(告示)
        • 결정문
        • 명령서
        • 법령
        • 보고서
        • 지시서
        • 화해조서
        • 신청·청원서
        • 수령서(청서)
        • 승인원
        • 신고
        • 인허·허가
        • 증명서·증명원
        • 판결문
        • 훈시·연술
        • 훈령
      • 기타
    • 근현대전적
      • 총류
      • 철학
      • 종교
      • 사회학
      • 자연과학
      • 기술과학
      • 예술
      • 언어
      • 문학
      • 역사
      • 기타
  • 입수처
    • 문중
      • {url:./treeAjax?itemId=&cate=organType&depth=1&upPath=%EB%AC%B8%EC%A4%91&dataId=}
    • 개인
      • {url:./treeAjax?itemId=&cate=organType&depth=1&upPath=%EA%B0%9C%EC%9D%B8&dataId=}
    • 서원향교
      • {url:./treeAjax?itemId=&cate=organType&depth=1&upPath=%EC%84%9C%EC%9B%90%ED%96%A5%EA%B5%90&dataId=}
    • 기관
      • {url:./treeAjax?itemId=&cate=organType&depth=1&upPath=%EA%B8%B0%EA%B4%80&dataId=}
    • 기타
      • {url:./treeAjax?itemId=&cate=organType&depth=1&upPath=%EA%B8%B0%ED%83%80&dataId=}
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1780년 조명록 논 매매 문기(趙命祿 畓賣買文記)

기본정보

ㆍ자료ID
A003_01_A00291_001
ㆍ입수처
전주이씨 선교장
ㆍ자료유형
고문서
ㆍ유형분류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ㆍ주제분류
ㆍ문서명
1780년 조명록 논 매매 문기 / 趙命祿 畓賣買文記
ㆍ발급자
조명록(趙命祿)
원문내용:
추정:
ㆍ수취자
이시춘(李時春)
원문내용:
추정:
ㆍ발급시기
1780년 4월 10일
간지연도:
왕력:
추정시기:
본문: 乾隆四十五年庚子四月初十日
ㆍ형태정보
점수: 1
크기: 55.5 × 35.4
접은크기: ×
서명:
인장종수:
보존상태:
언어:
자료형태:
ㆍ정의
1780(정조4) 4월 10일에 조명록(趙命祿)이 이시춘(李時春 1736~1785)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매매 문기
ㆍ기타사항
ㆍ현소장처
율곡연구원
ㆍ지정문화재
이름: 분류: 지정년도:
ㆍ수장고
이름: 서가위치: 단위치:

해제

1780(정조4) 4월 10일에 조명록(趙命祿)이 이시춘(李時春 1736~1785)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매매문기다. 방매 사유는 자신이 ‘요긴하게 쓸 곳이 있어서’라고 하였고, 소유하게 된 경위에 대해서는 자신이 매득했던 논이라고 하였으며, 소재지는 일구라미(一仇羅味), 자호는 왕자(王字), 지번은 71답과 73답 두 곳이다. 이 두 곳을 합한 면적은 파종량 기준으로 1섬5마지기이고, 매매가는 50냥이다. 해당 토지에 대한 본문기(本文記) 1장도 신문기(新文記)와 함께 매수인에게 인도한다고 하였다. 이 거래에 동생 조학득(趙鶴得)이 필집(筆執)으로 참여하여 문서를 작성하고 착명하였다. 매수인 이시춘은 아버지 이내번(李乃蕃 1703∼1781)의 아들이다. 이내번은 충주에 세거하던 전주이씨로, 부친 이주화(李冑華 1647~1718)가 세상을 떠나자 1721년 모친 안동권씨를 따라 외가인 강릉으로 입향한 인물이다. 이후 18세기 중엽 이후 아들 이시춘과 함께 선교장을 중심으로 강릉 일대의 토지를 적극 매입하며 경제 규모를 키워나갔는데 선교장 소장 매매문기와 전답안 등을 통해 살필 수 있다.

원문

1780(정조4) 4월 10일에 조명록(趙命祿)이 이시춘(李時春 1736~1785)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매매문기이다. 방매 사유는 자신이 ‘요긴하게 쓸 곳이 있어서’라고 하였고, 소유하게 된 경위에 대해서는 자신이 매득했던 논이라고 하였으며, 소재지는 일구라미(一仇羅味), 자호는 왕자(王字), 지번은 71답과 73답 두 곳이다. 이 두 곳을 합한 면적은 파종량 기준으로 1섬5마지기이고, 매매가는 50냥이다. 해당 토지에 대한 본문기(本文記) 1장도 신문기(新文記)와 함께 매수인에게 인도한다고 하였다. 이 거래에 동생 조학득(趙鶴得)이 필집(筆執)으로 참여하여 문서를 작성하고 착명하였다. 매수인 이시춘은 아버지 이내번(李乃蕃 1703∼1781)의 아들이다. 이내번은 충주에 세거하던 전주이씨로, 부친 이주화(李冑華 1647~1718)가 세상을 떠나자 1721년 모친 안동권씨를 따라 외가인 강릉으로 입향한 인물이다. 이후 18세기 중엽 이후 아들 이시춘과 함께 선교장을 중심으로 강릉 일대의 토지를 적극 매입하며 경제 규모를 키워나갔는데 선교장 소장 매매명문과 전답안 등을 통해 살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