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1778년 심묵 논 매매 문기(沈默 畓賣買文記)
기본정보
- ㆍ자료ID
- A003_01_A00286_001
- ㆍ입수처
- 전주이씨 선교장
- ㆍ자료유형
- 고문서
- ㆍ유형분류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ㆍ주제분류
- ㆍ문서명
- 1778년 심묵 논 매매 문기 / 沈默 畓賣買文記
- ㆍ발급자
-
심묵(沈默,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수취자
-
이시춘(李時春, 1736~1785, 개인)
원문내용:추정:
- ㆍ발급시기
-
1778년 10월 15일간지연도:왕력:추정시기:본문: 乾隆四十三年戊戌十月十五日
- ㆍ형태정보
-
점수: 1크기: 57 × 64.4접은크기: ×서명:인장종수:보존상태:언어:자료형태:
- ㆍ정의
- 1778년(정조2) 10월 15일에 심묵(沈黙)이 이시춘(李時春 1736~1785)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매매 문기
- ㆍ기타사항
- ㆍ현소장처
- 율곡연구원
- ㆍ지정문화재
- 이름: 분류: 지정년도:
- ㆍ수장고
- 이름: 서가위치: 단위치:
해제
1778년(정조2) 10월 15일에 심묵(沈黙)이 이시춘(李時春 1736~1785)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매매명문이다. 매매사유는 집에서 가까운 곳에 대토(代土)를 매득하였기 때문에 부득이 팔게 되었다고 하였다. 대토는 이 전지를 팔아서 저 전지를 사는 것을 이르는데 이매(移買)와 같은 의미로, 원거리에 있어 경작에 어려움이 있는 토지를 팔고 거주지 인근의 토지를 사는 것이다. 토지 소재지는 일가남(一加南), 자호는 우자(虞字), 지번은 18답, 17답, 19답이고, 면적은 각각 14복, 5복1속, 7복7속으로 모두 합하여 2섬12마지기이며 매매가는 전문 130냥이다. 거래 시점이 10월이므로 해당 연도 경작물에 대한 소유는 매도인인 심묵이 갖는다는 의미로 ‘명년위시(明年爲始)’라는 문구가 들어있어 지상물과 관련한 권리이전을 토지 소유권과 별도로 명기한 것을 볼 수 있다. 전주이씨 선교장의 매매명문은 경작기의 경우에는 ‘명년위시(明年爲始)’, 추수가 끝났을 경우에는 ‘금년위시(今年爲始)’로 명기하여 지상물에 대한 소유권이 누구에게 있는지를 밝혀 적는 특징을 보인다. 심묵은 이 토지의 이전 거래계약서인 본문기(本文記) 2장도 신문기와 함께 매수인인 이시춘에게 인도하였다. 이 거래에 별도의 증인이나 필집(筆執) 없이 심묵이 자필로 문서를 작성하고 착명함으로써 거래가 성사되었다.
원문
乾隆四十三年戊戌十月十五日 幼學李時春前明文 右文爲 以家近處代土買得乙仍于 不得已 伏在
一加南虞字■十八畓十四卜 十七畓五卜一束 十九畓七卜七束幷以 二石十二斗落只廤乙 右人前 折價壹百參拾兩 依數捧上後 明年爲始 永永放賣爲乎矣 本文記二丈幷以 許給爲去乎 幸有日後如有雜談是去等 以此卞正印 畓主自筆幼學沈黙[着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