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381
1764년 홍만위 논 매매 문기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홍만위(洪萬渭, 발급)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二十九年甲申九月初八日 | 1764 | 52.7 × 31.9
일부 결락
-
382
1764년 이산중 간찰(李山重 簡札) | 안동권씨 청풍당 텍 이
이산중(李山重, 1717~1775, 발급), 권계학(權啓學, 1716~1788, 수취)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甲申三月卄五日 | 1764 | 35.1 × 45.5
1764년(갑신) 3월 25일에 간성군수(杆城郡守) 이산중(李山重)이 강릉(江陵)의 권계학(權啓學)에게 보내는 간찰
-
383
1764년 권흥철 간찰(權興喆 簡札) | 안동권씨 청풍당 텍 이
권흥철(權興喆, 발급), 권계학(權啓學, 1716~1788, 수취) | 서간통고류-간찰(簡札) | 八月卄三日 | 1764 | 24.2 × 34.5
[1764년] 8월 23일에 제(弟) 흥철(興喆)이 병조좌랑(兵曹佐郎) 권계학(權啓學)에게 보내는 간찰
-
384
1764년 권계학 관교(權啓學 官敎) | 안동권씨 청풍당 텍 이
영조(英祖, 발급), 권계학(權啓學, 1716~?, 수취) | 교령류-관교(官敎) | 乾隆二十九年八月初九日 | 1764 | 58.3 × 75
영조(英祖) 40년(1764)에 권계학(權啓學)을 통훈대부 행 병조좌랑(通訓大夫 行 兵曹佐郎)으로 임명한 관교(官敎)
-
385
어제엄제방유곤록(御製嚴堤防裕昆錄) | 안동권씨 청풍당 텍 이
영조(英祖,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목판본 | 1764년 | 1764 | 35.2 × 23
英祖가 왕세손에게 黨論의 폐해를 알리기 위해 간행한 御製書
-
386
친정일어제갱진첩(親政日御製賡進帖) | 안동권씨 청풍당 텍 이
집부-총집류(總集類) | 필사본 | 1764년 | 1764 | 34.7 × 21.1
1764년 12월 25일 양심합(養心閤) 영조가 親政하던 날에 지은 친제시에 신하들이 화답하는 시를 모아 편찬한 어제 시첩
-
387
1765년 조노 정봉 논 매매 문기(曺奴 丁奉 畓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조노 정봉(曺奴 丁奉, 발급), 이노 정산(李奴 丁山,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參拾年丙戌二月二十一日 | 1765 | 52.4 × 43
1766년(영조42) 2월 21일에 조생원댁 노 정봉(丁奉)이 이생원댁 노 정산(丁山)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매매문기
-
388
1765년 최정갑 논 매매 문기(崔貞甲 畓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최정갑(崔貞甲, 개인, 발급), 이달조(李達朝, 개인,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三十年乙酉正月初八日 | 1765 | 54.7 × 33.8
-
389
1765년 이노 정산 소지(李奴 丁山 所志)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이노 정산(李奴 丁山, 발급), 강릉부사(江陵府使, 수취) | 소차계장류-소지(所志) | 乙酉閏二月日 | 1765 | 58.2 × 155.2
1765년(영조 41) 윤2월에 정동(丁洞)에 사는 종 정산(丁山)이 자신의 상전인 이내번(李乃蕃, 1703~1781)이 매입한 노비의 매득문기를 점련하여 예에 따라 강릉부에 공증문서인 사급입안(斜給立案)을 발급해 줄 것을 청원한 소지
-
390
1765년 김무술 노비 매매 문기(金武戌 奴婢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김무술(金武戌, 개인, 발급), 이생원댁 노 정산(李生員宅 奴 丁山, 수취) | 문기류-노비문기(奴婢文記) | 1765
1765년(영조 41) 1월 25일 비주(婢主)인 역리(驛吏) 김무술(金武戌)이 30냥을 받고 이 생원댁 종 정산(丁山)에게 비 1구를 팔면서 발급해 준 노비매매문기로 A003_01_A00777_001 다음에 연접되어 있다.
-
391
1765년 김무술 초사(金武戌 招辭)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김무술(金武戌, 발급) | 증빙류-초사(招辭) | 乙酉正月二十五日 | 1765
1765년(영조 41) 1월 25일 역리 김무술(金武戌)이 관에서 진술한 초사(招辭)
-
392
1765년 김복환, 안상봉, 유태망 초사(金復還, 安尙奉, 柳太望 招辭)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김복환(金復還, 발급), 안상봉(安尙奉, 발급), 유태망(柳太望, 발급) | 증빙류-초사(招辭) | 同日 | 1765
1765년(영조 41) 1월 25일 위 노비매매거래시 매매문기를 작성한 필집 유학 김복환(金復還),거래증인으로 참여했던 양인 안상봉(安尙奉)과 역리 유태망(柳太望) 3인이 관에서 진술한 초사
-
393
1765년 강릉부사 사급입안(江陵府使 斜給立案)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강릉부사(江陵府使, 발급), 이노 정산(李奴 丁山, 수취) | 증빙류-입안(立案) | 乾隆三十年正月二十五日 | 1765
-
394
1765년 강릉도호부사 준호구(江陵都護府使 準戶口)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텍 이
강릉도호부사(江陵都護府使, 발급), 유학 조명숙(幼學 曺命肅, 수취) | 증빙류-준호구(準戶口) | 乾隆30년(1765) 정월 | 1765 | 56.8 × 58.3
건륭30년(1765) 정월 강릉도호부에서 幼學 曺命肅에게 발급한 준호구.
-
395
영조(英祖, 발급), 권계학(權啓學, 1716~?, 수취) | 교령류-관교(官敎) | 乾隆三十年五月十四日 | 1765 | 58.5 × 73.5
영조(英祖) 41년(1765)에 권계학(權啓學)을 통훈대부 행 병조정랑(通訓大夫 行 兵曹正郎)으로 임명한 관교(官敎)
-
396
1765년 권계학 관교(權啓學 官敎) | 안동권씨 청풍당 텍 이
영조(英祖, 발급), 권계학(權啓學, 1716~?, 수취) | 교령류-관교(官敎) | 乾隆三十年五月 | 1765 | 56 × 76.7
영조(英祖) 41년(1765)에 권계학(權啓學)을 통훈대부 행 병조정랑 겸 춘추관기주관(通訓大夫 行 兵曹正郎 兼 春秋館記注官)으로 임명한 관교(官敎)
-
397
1765년 권계학 관교(權啓學 官敎) | 안동권씨 청풍당 텍 이
영조(英祖, 발급), 권계학(權啓學, 1716~?, 수취) | 교령류-관교(官敎) | 乾隆三十年十月二十九日 | 1765 | 56.8 × 75.5
영조(英祖) 41년(1765)에 권계학(權啓學)을 통훈대부 행 병조정랑 겸 춘추관기주관(通訓大夫 行 兵曹正郎 兼 春秋館記注官)으로 임명한 관교(官敎)
-
398
1765년 권계학 관교(權啓學 官敎) | 안동권씨 청풍당 텍 이
영조(英祖, 발급), 권계학(權啓學, 1716~?, 수취) | 교령류-관교(官敎) | 乾隆三十年十二月二十二日 | 1765 | 57 × 73
영조(英祖) 41년(1765)에 권계학(權啓學)을 통훈대부 행 연원도 찰방(通訓大夫 行連源道 察訪)으로 임명한 관교(官敎)
-
399
집부-총집류(總集類) | 금속활자본 | 1765년 | 1765 | 33.1 × 20.2
1765년 9월 10일에 영조가 모화관에 행차했을 때 지은 친제시에 신하들이 화답한 시를 모아 편찬한 어제 시첩
-
400
강릉대도호부사(江陵大都護府使, 발급) | 증빙류-호구단자(戶口單子) | 乾隆 30년 | 1765 | 89.5 × 52
호주와 처의 4조가 순서대로 기록되었고, 중부와 숙모도 병기되었다. 호주의 나이는 52세고 본은 강릉이다. 말미에 노비 소유실태와 도망사실 그리고 도망하여 살고 있는 거주지가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