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361
한수재선생문집 26(寒水齋先生文集 26) | 남양홍씨(홍순성) 텍 이
권상하(權尙夏,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목판본 | 1761년 | 권진응(權震應) | 1761 | 29.7 × 19.7
조선 후기의 학자 權尙夏의 年譜 표제는 寒水齋集1
-
362
한수재선생문집 28(寒水齋先生文集 28) | 남양홍씨(홍순성) 텍 이
권상하(權尙夏,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목판본 | 1761년 | 권진응(權震應) | 1761 | 29.7 × 19.7
조선 후기의 학자 權尙夏의 年譜 표제는 寒水齋集1
-
363
한수재선생문집 31(寒水齋先生文集 31) | 남양홍씨(홍순성) 텍 이
권상하(權尙夏,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목판본 | 1761년 | 권진응(權震應) | 1761 | 29.7 × 19.7
조선 후기의 학자 權尙夏의 年譜 표제는 寒水齋集1
-
364
한수재선생문집 33(寒水齋先生文集 33) | 남양홍씨(홍순성) 텍 이
권상하(權尙夏,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목판본 | 1761년 | 권진응(權震應) | 1761 | 29.7 × 19.7
조선 후기의 학자 權尙夏의 年譜 표제는 寒水齋集1
-
365
-
366
1762년 대도호부사 준호구(대도호부사 準戶口)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대도호부사(대도호부사, 발급), 이내번(李乃蕃, 수취) | 증빙류-준호구(準戶口) | 乾隆27(1762) | 1762 | 74.4 × 54.9
강릉부 북면 嘉南 鏡湖里 거주하는 李乃蕃에게 발급한 문서
-
367
1762년 노귀현 논 매매 문기(奴貴賢 畓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노 귀현(奴 貴賢, 발급), 이노 정산(李奴 丁山,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貳拾柒秊壬午四月初十日 | 1762 | 54.9 × 41.9
1762년(영조38) 4월 10일에 심생원댁 노 귀현(貴賢)이 이생원댁 노 정산(丁山)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매매문기
-
368
1762년 차노 갑선 논 매매 문기(差奴 甲先 畓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차노 갑선(差奴 甲先, 발급), 박유복(朴有福,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三十年乙酉二月二十一日 | 1762 | 51.6 × 31.2
1765년(영조41) 2월 21일에 차노(差奴)인 상인(喪人) 갑선(甲先)이 박유복(朴有䃼)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매매문기
-
369
1762년 김노 갑진 논 매매 문기(金奴 甲辰 畓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김노 갑진(金奴 甲辰, 발급), 이노 기만(李奴 己萬,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二十七年壬午二月二十八日 | 1762 | 47.2 × 56.8
배면에 글자 있음 1762년(영조 38) 2월 28일에 논주인인 김 생원댁의 종 갑진(甲辰)이 이 생원댁의 종 기만(己萬)에게 18냥을 받고 상전 김 생원의 논을 매도하면서 발급해 준 토지매매문기
-
370
1762년 승려 도운 논 매매 한글문기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승려 도운(발급), 정정수(정정수,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걸늉삼시六年辛卯年■八月二十二日 | 1762 | 54.6 × 33.8
한글 명문 1771년(영조 47) 8월 22일에 논주인인 승려 도운이 점정술에게 10냥을 받고 논을 팔면서 발급해 준 토지매매문기
-
371
1762년 권계학 관교(敎旨) | 안동권씨 청풍당 텍 이
영조(英祖, 기관/단체, 발급), 권계학(權啓學, 1716~?, 개인, 수취) | 교령류-관교(官敎) | 乾隆二十七年閏五月二十八日 | 1762 | 53 × 74.5
1762년(乾隆27년) 윤5월 28일에 영조(英祖)가 권계학(權啓學)을 통훈대부 행 분병조좌랑(通訓大夫 行 分兵曹佐郎)으로 임명한 관교(官敎)이다.
-
372
강릉대도호부사(江陵大都護府使, 발급) | 증빙류-호구단자(戶口單子) | 乾隆 27년 | 1762 | 64 × 54
江陵府 北二里 山皇里 제2통 통수 正玉 통내 제1호인 金昌載家의 준호구이다. 기록내용을 보면 호주와 청의 4조가 등재되어 있고 호주의 仲父와 叔母도 병기되어 있다. 또 소유 노비 현황을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말미에 기록되어 있다.
-
373
1763년 김노 덕봉 논 매매 문기(金奴 德奉 畓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김노 덕봉(金奴 德奉, 발급), 권룡채(權龍采,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貳拾捌年癸未十二月初六日 | 1763 | 53.9 × 52.2
1763년(영조39) 12월 6일에 김생원댁 노 덕봉(德奉)이 권용채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문기
-
374
1763년 상전 김 패지(上典 金 牌旨)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상전 김(上典 金, 발급), 차노 덕봉(差奴 德奉, 수취) | 명문문기류-패지(牌旨) | 癸未十二月初四日 | 1763 | 25.6 × 33.8
1763년(영조39) 12월 4일에 상전(上典) 김(金)이 자신의 차노(差奴) 덕봉(德奉)에게 발급한 패자(牌子)
-
375
1763년 최도태, 김인택, 민팽창 논 매매 문기(崔道泰, 金仁澤, 閔彭昌 畓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최도태(崔道泰, 발급), 심귀무(沈貴武,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二年丁巳三月二十六日 | 1763 | 45.3 × 43.3
1737년(영조13) 3월 26일에 동서(同婿) 관계인 유학(幼學) 최도태(崔道泰), 김인택(金仁澤), 민팽창(閔彭昌)이 유학 심귀무(沈貴武)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문기
-
376
함경도 정평부(咸鏡道 定平府, 발급), 강릉대도호부사(江陵大都護府使, 수취) | 첩관통보류-관문(關文) | 乾隆 28년 12월 9일 | 1763 | 55.7 × 35.5
함경도 정평부에서 보낸 관문으로 강릉 최생원댁 도망노비를 붙잡았음을 알리고 이에 대한 확인을 하는 내용
-
377
주석당시삼백수 권1(註釋唐詩三百首 卷1) | 천보당 텍 이
집부-총집류(總集類) | 석인본 | 乾隆 癸未(1763년) | 상해 홍보재서국(上海 鴻寶齋書局) | 1763 | 20 × 13.9
唐詩 3백수를 註解하여 간행한 책 표제는 唐詩
-
378
1764년 최현민 백패(崔顯珉 白牌) | 최두헌 텍 이
최현민(崔顯珉, 수취) | 교령류-백패(白牌) | 乾隆 28년 | 1763 | 92 × 46
幼學 崔顯珉이 생원시에 입격한 백패
-
379
1764년 김숙 논밭 매매 문기(金璹 田畓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김숙(金璹, 발급), 이내번(李乃蕃,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二十九年甲申十一月二十日 | 1764 | 57 × 35.1
1764년 11월 20일에 논밭주인인 유학 김숙(金璹)이 유학 이내번(李乃蕃, 1703~1781)에게 17냥을 받고 논밭 세 곳을 매도하면서 발급해 준 토지매매문기
-
380
1764년 황원채 논 매매 문기(黃元采 畓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황원채(黃元采, 발급), 이내번(李乃蕃,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二十九年甲申十二月十九日 | 1764 | 52.9 × 33.6
1764년 12월 19일에 논주인 유학 황원채(黃元采)가 유학 이내번(李乃蕃, 1703~1781)에게 16냥을 받고 두 곳의 논을 매도하면서 발급해 준 토지매매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