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321
1759년 이내번 호구단자(李乃蕃 戶口單子)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이내번(李乃蕃, 발급), 대도호부사(대도호부사, 수취) | 증빙류-호구단자(戶口單子) | 乾隆24(1759) | 1759 | 75 × 48
강릉부 북면 嘉南 鏡湖里 거주하는 李乃蕃이 올린 호구단자
-
322
1759년 김치벽 논 매매 문기(金致璧 畓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김치벽(金致璧, 발급), 이내번(李乃蕃,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二十四年己卯三月十八日 | 1759 | 58.2 × 44.7
1759년 3월 18일에 논주인 유학 김치벽(金致璧)이 유학 이내번(李乃蕃, 1703~1781)에게 35냥을 받고 논 두 곳을 매도하면서 발급해 준 토지매매문기
-
323
1759년 심택문 논 매매 문기(沈宅文 畓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심택문(沈宅文, 발급), 이내번(李乃蕃,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二十四年己卯十二月二十九日 | 1759 | 54 × 33.9
1759년 12월 29일에 논주인 심택문(沈宅文)이 유학 이내번(李乃蕃, 1703~1781)에게 27냥을 받고 논 두 곳을 매도하면서 발급해 준 토지매매문기
-
324
1759년 김취옥 밭 매매 문기(金就玉 田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김취옥(金就玉, 발급), 김숙(金璹,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二十四年己卯四月十二日 | 1759 | 54.5 × 35.1
일부 훼손 1759년(영조35) 4월 12일에 유학(幼學) 김취옥(金就玉)이 유학 김숙(金璹)에게 밭을 팔면서 작성한 매매문기
-
325
1759년 조생원댁 노 업산 소지(曹 奴 業山 所志)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조 노 업산(曺 奴 業山, 발급), 강릉부사(江陵府使, 수취) | 소차계장류-소지(所志) | 己卯七月日 | 1759 | 52 × 32.8
1759년 신리(新里)에 사는 조 씨(曹氏)의 종 업산(業山)이 잘못 혼입된 거물리원에 있는 속전 3짐을 상전 조 씨에게 내어줄 것 등을 강릉부에 청원한 소지
-
326
1759년 사노 김을쇠 논 매매 문기(私奴 金乙衰 畓賣買文記)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텍 이
사노 김을쇠(私奴 金乙衰, 개인, 발급), 해부 김축이(海夫 金丑伊, 개인,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二十四年己卯十一月二十日 | 1759 | 53.3 × 33.3
-
327
1759년 김일흡 논 매매 문기(金日洽 畓賣買文記)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텍 이
김일흡(金日洽, 개인, 발급), 조생원(曺生員, 개인,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二十四年己卯十月初六日 | 1759 | 41.2 × 43.7
-
328
1760년 신양복 논 매매 문기(辛陽復 畓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신양복(辛陽復, 발급), 이내번(李乃蕃,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二十五年庚辰二月初一日 | 1760 | 55 × 39.1
1760년 2월 1일에 논주인 유학 신양복(辛陽復)이 유학 이내번(李乃蕃, 1703~1781)에게 7냥을 받고 논을 매도하면서 발급해 준 토지매매문기
-
329
1761년 삼척심씨 사우 유사 심실 논 매매 문기(三陟沈氏 祠宇 有司 沈宲 畓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심실(沈實, 발급), 이내번(李乃蕃,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二十六年辛巳三月初九日 | 1761 | 51 × 45.8
1761년 3월 9일에 삼척심씨(三陟沈氏)의 사우(祠宇) 유사인 유학 심실(沈宲)이 유학 이내번(李乃蕃, 1703~1781)에게 16냥을 받고 논을 매도하면서 발급해 준 토지매매문기
-
330
1761년 조명규 밭 매매 문기(曺命煃 田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조명煃(曺命煃, 발급), 이내번(李乃蕃,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二十六年辛巳正月二十二日 | 1761 | 52.8 × 34.2
1761년 1월 22일에 밭주인인 유학 조명규(曹命煃)가 유학 이내번(李乃蕃, 1703~1781)에게 12냥을 받고 밭을 매도하면서 발급해 준 토지매매문기
-
331
1764년 김용일 논밭 매매 문기(金龍一 田畓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김용일(金龍一, 발급), 이내번(李乃蕃,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二十九年甲申十一月初四日 | 1761 | 50.8 × 57.5
1764년 11월 4일에 논밭주인인 유학 김용일(金龍一)이 유학 이내번(李乃蕃, 1703~1781)에게 63냥을 받고 논밭 세 곳을 매도하면서 발급해 준 토지매매문기
-
332
1761년 나칠봉 불망기(羅七奉 不忘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나칠봉(羅七奉, 개인, 발급), 이노 정산(李奴 正山, 개인, 수취) | 증빙류-불망기(不忘記) | 辛巳 | 1761 | 52.7 × 33.6
흉년을 만나 부모상을 당해 이생원댁에 自賣한 것을 확인하고 이행을 약속한 불망기
-
333
1761년 사비 초정 원정(私婢 草正 原情)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사비 초정(私婢 草正, 발급), 강릉부사(江陵府使, 수취) | 소차계장류-원정(原情) | 辛巳四月日 | 1761 | 49.1 × 44.5
1761년(영조 37) 4월에 정동(丁洞)에 사는 사비 초정(草正)이 강릉도호부사에게 자신을 침범하고 모독한 나 가(羅哥)를 엄히 처벌해 줄 것을 청원한 원정(原情)
-
334
한수재선생문집 2(寒水齋先生文集 2) | 안동권씨 청풍당 텍 이
권상하(權尙夏,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목판본 | 1761년 | 권진응(權震應) | 1761 | 29.2 × 19.5
조선 후기의 학자 權尙夏의 시문집 표제는 寒水齋集
-
335
한수재선생문집 3(寒水齋先生文集 3) | 안동권씨 청풍당 텍 이
권상하(權尙夏,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목판본 | 1761년 | 권진응(權震應) | 1761 | 29.2 × 19.5
조선 후기의 학자 權尙夏의 시문집 표제는 寒水齋集
-
336
한수재선생문집 4(寒水齋先生文集 4) | 안동권씨 청풍당 텍 이
권상하(權尙夏,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목판본 | 1761년 | 권진응(權震應) | 1761 | 29.2 × 19.5
조선 후기의 학자 權尙夏의 시문집 표제는 寒水齋集
-
337
한수재선생문집 5(寒水齋先生文集 5) | 안동권씨 청풍당 텍 이
권상하(權尙夏,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목판본 | 1761년 | 권진응(權震應) | 1761 | 29.2 × 19.5
조선 후기의 학자 權尙夏의 시문집 표제는 寒水齋集
-
338
한수재선생문집 6(寒水齋先生文集 6) | 안동권씨 청풍당 텍 이
권상하(權尙夏,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목판본 | 1761년 | 권진응(權震應) | 1761 | 29.2 × 19.5
조선 후기의 학자 權尙夏의 시문집 표제는 寒水齋集
-
339
한수재선생문집 7(寒水齋先生文集 7) | 안동권씨 청풍당 텍 이
권상하(權尙夏,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목판본 | 1761년 | 권진응(權震應) | 1761 | 29.2 × 19.5
조선 후기의 학자 權尙夏의 시문집 표제는 寒水齋集
-
340
한수재선생문집 8(寒水齋先生文集 8) | 안동권씨 청풍당 텍 이
권상하(權尙夏, 편저자) | 집부-별집류(別集類) | 목판본 | 1761년 | 권진응(權震應) | 1761 | 29.2 × 19.5
조선 후기의 학자 權尙夏의 시문집 표제는 寒水齋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