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221
한원진(韓元震, 편저자) | 자부-유가류(儒家類) | 목판본 | 乾隆 6년 | 1741 | 29.6 × 20.8
조선 후기 학자 한원진이 경학에 관한 스승과 선유들의 제설과 자신의 설을 엮어 간행한 유학서
-
222
한원진(韓元震, 편저자) | 자부-유가류(儒家類) | 목판본 | 乾隆 6년 | 1741 | 29.6 × 20.8
조선 후기 학자 한원진이 경학에 관한 스승과 선유들의 제설과 자신의 설을 엮어 간행한 유학서
-
223
1742년 조명달 밭 매매 문기(曺命達 田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조명달(曺命達, 개인, 발급)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七年壬戌五月二十八日 | 1742 | 56.2 × 36.3
1742년 조명달이 一加南 지역의 밭을 매매하기 위해 작성한 매매문기
-
224
1742년 신시복 밭 매매 문기(辛始復 田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신시복(辛始復, 발급)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七年壬戌九月初四日 | 1742 | 51.5 × 32.6
일부 훼손 판독 불가 1742년(영조 18) 9월 4일에 밭주인인 상인(喪人) 신시복(辛始復)이 상인 모에게 20냥을 받고 밭을 매도하면서 발급해 준 토지매매문기
-
225
1742년 심상원 논 매매 문기(沈尙遠 畓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심상원(沈尙遠, 발급), 안▣선(安▣善,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柒年壬戌正月二十二日 | 1742 | 63.2 × 109.3
1742년(영조 18) 1월 22일에 논주인 유학 심상원(沈尙遠)이 통정대부 안▣선(安▣善)에게 8냥을 받고 논을 매도하면서 발급해 준 토지매매문기
-
226
1742년 김언중 노비 매매 문기(金彦重 奴婢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김언중(金彦重, 발급), 이지무(李枝茂, 수취) | 문기류-노비문기(奴婢文記) | 乾隆七年壬戌正月二十八日 | 1742 | 72.1 × 54.5
1742년(영조 18) 1월 28일에 여종 주인 유학 김언중(金彦重)이 25냥을 받고 자신의 사촌손(四寸孫) 유학 이지무(李枝茂)에게 여종 1구(口)를 매도하면서 발급해 준 노비매매문기
-
227
1743년 최명동 논 매매 문기(崔命東 畓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최명동(崔命東, 발급), 정돌손(鄭乭孫,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八年癸亥三月十四日 | 1743 | 48.7 × 32.3
1743년(영조19) 3월 14일에 상인(喪人) 최명동(崔命東)이 정돌손(鄭乭孫)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 매매문기
-
228
1744년 최치동 밭 매매 문기(崔致東 田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최치동(崔致東, 발급), 이내번(李乃蕃,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九年甲子正月二十三日 | 1744 | 52.9 × 32
1744년 1월 23일에 밭주인 최치동(崔致東)이 선교장 이내번(李乃蕃, 1703~1781)에게 17냥을 받고 밭을 매도하면서 발급해 준 토지매매문기
-
229
경부-서류(書類) | 목판본 | 1744년 | 영조(英祖) | 1744 | 31.7 × 20.7
영조의 명으로 1586년에 간행된 <소학언해>의 체제를 수정하여 간행한 책
-
230
1744년 원도형 서 좌목(元道亨 序 座目) | 이상국 텍 이
원도형 서(元道亨 序, 발급) | 乾隆 9년(1744) | 1744 | 41.5 × 28
영월 수주면 洞約의 約條와 좌목
-
231
강릉대도호부사(江陵大都護府使, 발급) | 증빙류-호구단자(戶口單子) | 乾隆9(1744) | 1744 | 48 × 54
영조 20년(1744)에 작성된 것으로 강릉부 북이리 제4 산황리 제3통 통수 김귀삼 통내에 거주하는 유학 김태주의 준호구이다.
-
232
강릉대도호부(江陵大都護府, 발급), 유학 최명규(幼學 崔命奎, 수취) | 증빙류-호구단자(戶口單子) | 乾隆 9년 | 1744 | 84 × 53
幼學 崔命奎의 1744년 호구단자로 준호구를 겸하였다.
-
233
1745년 이지무 소지(李枝茂 所志)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이지무(李枝茂, 발급), 강릉부사(江陵\府使, 수취) | 소차계장류-소지(所志) | 乙丑正月日 | 1745 | 51.6 × 30.4
1745년(영조 21) 1월에 유학 이지무(李枝茂)가 매입한 여자종의 매매문기를 점련하여 사급입안을 강릉부에 청원한 소지(所志)
-
234
1745년 김언중 초사(金彦重 招辭)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김언중(金彦重, 발급), 강릉대도호부(江陵大都護府, 수취) | 증빙류-초사(招辭) | 乙丑正月二十五日 | 1745
1745년(영조 21) 1월 25일에 비주(婢主) 유학 김언중(金彦重)이 관에서 진술한 초사(招辭)
-
235
1745년 이인창 초사(李仁昌 招辭)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이인창(李仁昌, 발급), 강릉부사(江陵府使, 수취) | 증빙류-초사(招辭) | 同日 | 1745
1745년(영조 21) 1월 25일에 증인(證人) 유학 이인창(李仁昌)이 관에서 진술한 초사(招辭)
-
236
1745년 강릉부사 입안(江陵府使 立案)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강릉부사(江陵府使, 발급), 이지무(李枝茂, 수취) | 증빙류-입안(立案) | 乾隆十年正月日 | 1745
1745년(영조 21) 1월에 유학 이지무가 올린 소지에 따라 사실을 확인한 뒤 강릉부에서 발급해 준 사급입안(斜給立案)
-
237
1745년 최치동 소지(崔致東 所志)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최치동(崔致東, 발급), 강릉부사(江陵府使, 수취) | 소차계장류-소지(所志) | 乙丑六月卄五 | 1745 | 50.8 × 30.6
1745년(영조 21) 5월에 화민(化民) 최치동(崔致東)이 가묘(家廟)에서 제멋대로 종조부모의 위패를 빼내간 종조부의 사위 김우택(金虞澤)을 벌줄 것을 강릉부에 청원한 소지
-
238
1746년 이내번 호구단자(李乃蕃 戶口單子)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이내번(李乃蕃, 발급), 행대도호부사(행대도호부사, 수취) | 증빙류-호구단자(戶口單子) | 乾隆11(1746) | 1746 | 69.5 × 45.5
강릉부 북면 嘉南 鏡湖里 거주하는 李乃蕃이 올린 호구단자
-
239
1746년 최창익 논 매매 문기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최창익(崔昌益, 개인, 발급), 최태동(崔泰東, 개인,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十一年丙寅六月初八日 | 1746 | 47 × 48.8
-
240
1746년 장차만 논 매매 문기(張次萬 畓賣買文記) | 전주이씨 선교장 텍 이
장차만(張次萬, 발급), 심노 몽치(沈奴 夢治, 수취) | 문기류-토지문기(土地文記) | 乾隆十一年丙寅閏三月二十二日 | 1746 | 53.5 × 30.1
1746년(영조22) 윤3월 22일에 장차만(張次萬)이 심생원댁(沈生員宅) 노(奴) 몽치(夢治)에게 밭을 팔면서 작성한 매매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