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분류

  • 유람기
    • 강원
      • {url:./treeAjax?itemId=B&cate=cateSubj&depth=1&upPath=%EC%9C%A0%EB%9E%8C%EA%B8%B0%5E%EA%B0%95%EC%9B%90&dataId=}
    • 경기
      • {url:./treeAjax?itemId=B&cate=cateSubj&depth=1&upPath=%EC%9C%A0%EB%9E%8C%EA%B8%B0%5E%EA%B2%BD%EA%B8%B0&dataId=}
    • 서울
      • {url:./treeAjax?itemId=B&cate=cateSubj&depth=1&upPath=%EC%9C%A0%EB%9E%8C%EA%B8%B0%5E%EC%84%9C%EC%9A%B8&dataId=}
    • 영남
      • {url:./treeAjax?itemId=B&cate=cateSubj&depth=1&upPath=%EC%9C%A0%EB%9E%8C%EA%B8%B0%5E%EC%98%81%EB%82%A8&dataId=}
    • 제주
      • {url:./treeAjax?itemId=B&cate=cateSubj&depth=1&upPath=%EC%9C%A0%EB%9E%8C%EA%B8%B0%5E%EC%A0%9C%EC%A3%BC&dataId=}
    • 충청
      • {url:./treeAjax?itemId=B&cate=cateSubj&depth=1&upPath=%EC%9C%A0%EB%9E%8C%EA%B8%B0%5E%EC%B6%A9%EC%B2%AD&dataId=}
    • 호남
      • {url:./treeAjax?itemId=B&cate=cateSubj&depth=1&upPath=%EC%9C%A0%EB%9E%8C%EA%B8%B0%5E%ED%98%B8%EB%82%A8&dataId=}
    • 복수지역
      • {url:./treeAjax?itemId=B&cate=cateSubj&depth=1&upPath=%EC%9C%A0%EB%9E%8C%EA%B8%B0%5E%EB%B3%B5%EC%88%98%EC%A7%80%EC%97%AD&dataId=}
  • 전통과학
    • 천문
      • {url:./treeAjax?itemId=B&cate=cateSubj&depth=1&upPath=%EC%A0%84%ED%86%B5%EA%B3%BC%ED%95%99%5E%EC%B2%9C%EB%AC%B8&dataId=}
    • 의학·양생
      • {url:./treeAjax?itemId=B&cate=cateSubj&depth=1&upPath=%EC%A0%84%ED%86%B5%EA%B3%BC%ED%95%99%5E%EC%9D%98%ED%95%99%C2%B7%EC%96%91%EC%83%9D&dataId=}
    • 점복·명학
      • {url:./treeAjax?itemId=B&cate=cateSubj&depth=1&upPath=%EC%A0%84%ED%86%B5%EA%B3%BC%ED%95%99%5E%EC%A0%90%EB%B3%B5%C2%B7%EB%AA%85%ED%95%99&dataId=}
    • 풍수·지리
      • {url:./treeAjax?itemId=B&cate=cateSubj&depth=1&upPath=%EC%A0%84%ED%86%B5%EA%B3%BC%ED%95%99%5E%ED%92%8D%EC%88%98%C2%B7%EC%A7%80%EB%A6%AC&dataId=}
    • 부적·잡방
      • {url:./treeAjax?itemId=B&cate=cateSubj&depth=1&upPath=%EC%A0%84%ED%86%B5%EA%B3%BC%ED%95%99%5E%EB%B6%80%EC%A0%81%C2%B7%EC%9E%A1%EB%B0%A9&dataId=}
  • 강원문집
    • 문집(文集)
      • {url:./treeAjax?itemId=B&cate=cateSubj&depth=1&upPath=%EA%B0%95%EC%9B%90%EB%AC%B8%EC%A7%91%5E%EB%AC%B8%EC%A7%91%28%E6%96%87%E9%9B%86%29&dataId=}
    • 세고(世稿)
      • {url:./treeAjax?itemId=B&cate=cateSubj&depth=1&upPath=%EA%B0%95%EC%9B%90%EB%AC%B8%EC%A7%91%5E%EC%84%B8%EA%B3%A0%28%E4%B8%96%E7%A8%BF%29&dataId=}
    • 실기(實記)
      • {url:./treeAjax?itemId=B&cate=cateSubj&depth=1&upPath=%EA%B0%95%EC%9B%90%EB%AC%B8%EC%A7%91%5E%EC%8B%A4%EA%B8%B0%28%E5%AF%A6%E8%A8%98%29&dataId=}
    • 유고(遺稿)
      • {url:./treeAjax?itemId=B&cate=cateSubj&depth=1&upPath=%EA%B0%95%EC%9B%90%EB%AC%B8%EC%A7%91%5E%EC%9C%A0%EA%B3%A0%28%E9%81%BA%E7%A8%BF%29&dataId=}
    • 유사(遺事)
      • {url:./treeAjax?itemId=B&cate=cateSubj&depth=1&upPath=%EA%B0%95%EC%9B%90%EB%AC%B8%EC%A7%91%5E%EC%9C%A0%EC%82%AC%28%E9%81%BA%E4%BA%8B%29&dataId=}
    • 습유(拾遺)
      • {url:./treeAjax?itemId=B&cate=cateSubj&depth=1&upPath=%EA%B0%95%EC%9B%90%EB%AC%B8%EC%A7%91%5E%EC%8A%B5%EC%9C%A0%28%E6%8B%BE%E9%81%BA%29&dataId=}
홈 > 주제분류 > 강원문집

경농유고 하(鏡農遺稿 下)

기본정보

ㆍ자료ID
A004_02_B00102_002
ㆍ입수처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ㆍ자료유형
고전적
ㆍ유형분류
집부-별집류(別集類)
ㆍ주제분류
강원문집-문집(文集)
ㆍ서명
경농유고 하 / 鏡農遺稿 下
ㆍ표제
/
ㆍ내제
/
ㆍ권수제
/
ㆍ판심제
/
ㆍ저자
이근우(李根宇, 1877~1938, 기타, 저자)
ㆍ간행정보
간사지: 간사자: 간사년: 서기년: 왕력: 추정시기:
ㆍ형태정보
판종: 석인본 권수: 6 책수: 2 질: 완질 전: 장_매: 절_면: 책차: 2 권차: 4~6 점수: 1 크기: 28.5 × 18.3 접은크기: × 장정: 선장 계선: 유계 판구: 어미: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花紋魚尾) 광곽: 사주쌍변 반곽크기: × 단수: 행자수: 10행 20자 주쌍행: 서명(署名): 주표기:
ㆍ일반주기
서명사항:
서:
발:
정의: 주기사항:
ㆍ소장본주기
장서관련기록:
인장종수: 5
인문판독: 김태석인(金台錫印) 인장크기: 0.5 * 0.5
인문판독: - 인장크기: 0.5 * 0.5
인문판독: 조인환인(曺仁煥印) 인장크기: 2.4 * 2.4
장정:
ㆍ요약주기
정의: 강릉 선교장(船橋莊)의 제7대 주인인 이근우(李根宇, 1877~1938)의 문집.
내용: 저자 이근우는 지역의 유지로서 강릉 운정동의 동진학교(東震學校)를 설립한 인물이다.
자료특성:
ㆍ언어주기
한자
ㆍ기타사항
ㆍ총서사항
ㆍ현소장처
ㆍ지정문화재
이름: 분류: 지정년도:

해제

본 문헌은 강릉 선교장(船橋莊)의 제7대 주인인 이근우(李根宇, 1877~1938)의 문집이다. 본 해제 대상은 전체 6권 2책의 완질(完帙)이다. 간행시기와 간행지역은 명확하지 않다. 저자 이근우는 지역의 유지로서 강릉 운정동의 동진학교(東震學校)를 설립한 인물이기도 하다. 선장(線裝)으로 장책(粧冊)되었다. 본 해제 대상의 판종(板種)은 석인본(石印本)이다. 표제(表題)는 ‘경농유고(鏡農遺稿)’이며 제첨(題籤)되어 있다. 표제의 서체는 전서(篆書)이며 하단에는 김태석(金台錫, 1875~1953)의 인문이 답인되어 있다. 편제면(編題面)에는 서명과 함께 저자 및 교열자의 정보가 기입되어 있으며, 좌측 하단에는 편제를 쓴 인물이 농천(農泉) 이병희(李丙熙)라는 내용과 이병희의 인문이 확인된다. 본 문헌의 형태사항으로 변란(邊欄)은 사주쌍변(四周雙邊)이며, 판심(版心)의 어미(魚尾)는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花紋魚尾)이다. 판심제(版心題)는 상상비(上象鼻)에 위치하며, 어미 하단에는 권차(卷次)와 편명(篇名), 장차(張次)가 순서대로 나타난다. 본문은 계선(界線)이 있으며, 매면(每面)마다 10행(行) 20자(字)로 구성되어 있다. 본 문헌의 크기는 세로 28.5cm, 가로 18.3cm이다. 제1책은 권1~3, 제2책은 권4~6을 수록하고 있다. 각 책에는 [조인환인(曺仁煥印)]이 답인되어 있어, 창녕조씨 명숙공가의 조인환(1888~?)이 지니고 있던 책임을 알 수 있다. 조인환은 조석삼의 증손(曾孫)으로 자가 원도(元道)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