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디렉토리 분류 > 분류정보
유편문선(類編文選)
기본정보
- ㆍ자료ID
- A004_01_B00292_001
- ㆍ입수처
- 창녕조씨 명숙공종가
- ㆍ자료유형
- 고전적
- ㆍ유형분류
- 집부-총집류(總集類)
- ㆍ주제분류
- ㆍ서명
- 유편문선 / 類編文選
- ㆍ권차명
- 유편문선 / 類編文選
- ㆍ저자
- ㆍ간행정보
- 간사지: 간사자: 류인초(劉仁初) 간사년: 甲戌年(1454년) 서기년: 1454 왕력: 추정시기:
- ㆍ형태정보
- 판종: 목판본 권수: 책수: 질: 전: 장_매: 절_면: 책차: 권차: 점수: 1 크기: 25.8 × 17.8 접은크기: × 장정: 선장 계선: 판구: 어미: 광곽: 사주쌍변 반곽크기: × 단수: 행자수: 주쌍행: 서명(署名): 주표기:
- ㆍ일반주기
-
서명사항:서:발:정의: 주기사항:
- ㆍ소장본주기
-
장서관련기록:종류: 冊主望西亭 내용: 망서정은 해운정의 주인인 어촌 심언광(沈彦光, 1487~1540)이 1538년에 해운정 서쪽에 지은 정자다. 이 책의 소장자는 심언광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창녕조씨 명숙공종가는 삼척심씨인 심언광의 집안과 인척관계로, 특정한 시기에 삼척심씨 집안의 장서가 명숙공종가쪽으로 옮겨온 것으로 추정된다.인장종수:장정:
- ㆍ요약주기
-
정의: 원 제목은 <新刊類編歷擧三場文選古賦>로 원나라에서 시행한 鄕試와 會試, 그리고 殿試의 三場에서 합격한 답안들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편집한 책.내용:자료특성:
- ㆍ언어주기
- ㆍ기타사항
- ㆍ총서사항
- ㆍ현소장처
- 율곡연구원
- ㆍ지정문화재
- 이름: 분류: 지정년도:
- ㆍ수장고
- 이름: 서가위치: 단위치:
해제
신간유편역거삼장문선고부는 원나라 유정(劉貞, 유인초)이 원에서 행한 향시(鄕試), 회시(會試), 전시(殿試)의 삼장(三場)에서 합격한 문과 응시생들의 모범 답안 중 <고부(古賦)>를 모은 책으로 14세기 중후반에 우리나라에 전래되었다. 본서는 <고부(古賦)> 권5~8 부분으로, 조선 초기 금속활자인 경자자(庚子字)로 인출한 판본을 저본으로 번각(飜刻)하여 1454년(중종 9) 밀양부에서 간행하였다.
원문
원문이 존재하지 않습니다.